김진향 재단 이사장, "북한은 돈만 중요한 게 아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2013년 북한이 먼저 쌀 지급 요청"
[서울=뉴스핌] 민경하 기자 =정부 고위당국자가 개성공단 재개의 핵심으로 대량 현금 유입을 지적한 가운데, 현금을 현물로 대체하는 방식은 이미 여러 차례 논의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진향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 이사장은 11일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 임금 지급 방식을 현금 대신 현물로 변경하자고 여러 차례 건의한 바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와 정치권에서 나온 '현금이 유입되지 않는 해결 방법'이 사실상 새로운 것이 아니란 얘기다.
앞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더불어민주당 한반도비핵회특별위원회를 찾은 자리에서, 개성공단 재개와 관련해서 "(북한에) 현금이 유입되지 않는 방식으로 개성공단 문제 해결 방법이 있는지 연구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이 속해 있는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은 통일부 산하기관으로, 그는 지난 2018년 중순부터 북측 근로자에게 임금 지급 방식을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해왔다. 유엔 안보리 제재에 저촉되는 현금 대신 쌀·우유·분유 등 인도적 지원 물품을 근로자들에게 지급하자는 내용이다.
그는 "대체 방안에 대해서는 북측도 이해하고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대가 없는 개성공단 재가동을 언급한 것도, 제재를 우회해 개성공단 문제를 먼저 해결하자는 의도를 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이사장은 "북한이 개성공단을 단순한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지 않는다"며 "정부 당국자들이 적극적으로 대화를 시도한다면 개성공단 문제는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기업인들이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2019.1.9 [사진=민경하기자 204mkh@] |
이종덕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또한 같은 입장을 보였다. 입주 기업인들 또한 현물 대체 방식에 대해 충분히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11년과 2013년에도 현금 지급이 대북제재에 저촉돼 현물 지급방식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적이 있었다"며 "당시에는 북측이 먼저 쌀로 지급해달라고 요청해왔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협회에서는 현물 지급방식은 물론, 제재와 저촉되는 개성공단 문제의 대체 방안을 여러 차례 제시한 바 있다"며 "입주기업인들이 제재 내용도 무시한 채 무조건 요구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204m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