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日 네티즌이 추천하는 도쿄 맛집 10선

기사입력 : 2019년02월04일 09:01

최종수정 : 2019년02월04일 09:01

‘미식의 도시’ 도쿄 여행의 필수 코스
디저트 카페 ‘라 부티크 조엘 로부숑’에서
텐동 맛집 ‘다이코쿠야’까지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일본의 수도 ‘도쿄(東京)’는 한국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일본 여행지이자, 미식의 도시라고 평가받을 만큼 많은 맛집들이 많은 곳이다. 이런 도쿄 맛집 중에서도 ‘타비 채널’이나 ‘그루나비’, ‘타베로그’ 등에서 일본 네티즌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맛집 10곳을 소개한다.

◆ 디저트 카페 ‘라 부티크 조엘 로부숑’

‘LA BOUTIQUE de Joel Robuchon’. 미슐랭 3스타 셰프인 조엘 로부숑(Joel Robuchon)의 디저트 카페이다.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와 롯폰기 힐스, 마루노우치 브릭스퀘어 등 도쿄 내에 3곳이 있다. 고급스럽고 화려한 외관에 꽤 문턱이 높은 가게처럼 보이지만, 마루노우치점은 다른 두 곳에 비해 좀 더 편안한 분위기다. 네티즌들로부터 프랑스 현지 맛에 가장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크루아상을 비롯한 빵 종류와 다양한 케이크 등을 판매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갈레트’이다. 1만원~2만원 정도의 예산이면 조엘 로부숑의 다양한 디저트 세계를 맛볼 수 있다. JR도쿄(東京)역 또는 JR유라쿠초(有楽町)역에서 도보 3~4분 거리에 있다. 영업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다. 일요일에도 영업한다.

[사진=타비 채널]

◆ 카레 맛집 ‘산초메노카레야상’

‘3丁目のカレー屋さん’. 교바시(京橋)에 있는 해산물 카레와 구운 치즈 비프 카레로 유명한 카레 맛집이다. 특히 인기 있는 ‘구운 치즈 비프 카레’는 풍부한 치즈 아래 입 안에서 녹을 만큼 연하면서도 두툼한 쇠고기가 들어 있다.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한 카레의 풍미는 말할 것도 없다는 평가다. 매운 맛을 조절해 주문할 수 있다. 평일 점심시간 혼잡을 피하고 싶은 경우에는 예약도 가능하다. 점심메뉴 가격은 1만원~2만원 사이이며, 영업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이다. 도에이(都営) 지하철 다카라초(宝町)역에서 도보 2분 정도다. 둘째, 넷째, 다섯째 토요일과 일요일·국경일에는 쉰다.

[사진=타비 채널]

◆ 피자 맛집 ‘피자 케베로스’

‘PIZZA KEVELOS’. 시부야(渋谷)에 있는 피자로 유명한 가게다. 도쿄에서도 흔치 않은 장작 화덕에서 구워낸 본격적인 피자를 맛볼 수 있다. 가게의 대표 메뉴는 심플한 ‘마리나라 피자’이지만, 또 다른 추천 메뉴는 보는 것만으로 입맛을 당기는 ‘생햄 샐러드 피자’다. 토마토 소스 베이스의 도우 위에 생야채와 생햄을 듬뿍 올리고 파르메산 치즈로 마무리했다. 메이지진구마에(明治神宮前) 역에서 도보 2분 거리에 있다. 평일 점심은 11:30~14:30, 저녁은 18:00~22:30까지다. 토요일 및 공휴일은 12:00~21:30까지. 1인당 3만~4만원의 무제한 코스도 있다. 채식주의자를 위한 메뉴도 있다.

[사진=타베로그]

◆ 오야코동 맛집 ‘타이젠’

‘泰然(TAIZEN)’. 오야코동과 야키토리로 유명한 신주쿠(新宿) 맛집이다. 일본 3대 토종닭으로 불리는 아키타(秋田)현의 ‘히나이지도리(比内地鶏)’ 요리의 메카로 평가받는 곳이다. 대표 메뉴는 히나이지도리의 고기와 달걀을 사용한 ‘히나이지도리 오야코동(親子丼)’이다. 양념이 잘 배인 닭고기와 신선함이 눈에 보이는 반숙 달걀의 조화가 일품으로 ‘도쿄 톱 클래스’의 오야코동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주쿠교엔마에(御苑前)역에서 350m 정도. 메뉴 가격은 1만원~2만원 사이. 일요일은 쉰다.

[사진=타베로그]

◆ 디저트 카페 ‘켄스 카페 도쿄’

‘KEN'S CAFE TOKYO’. 신주쿠에 있는 초콜릿 케이크 전문점이다. 메뉴는 ‘가토 쇼콜라’ 하나뿐이다. 이 집 가토 쇼콜라의 농후함은 ‘일본 제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280g짜리 1박스 가격이 3만원 정도라 조금 비싼 느낌은 있다. 그러나 일단 한 입 먹어보면 가격에 대한 아쉬움이 어느새 사라지는 맛이라는 평가다. 꼭 ‘차갑게’ ‘상온에서’ ‘따뜻하게’의 세 가지 방식으로 먹어보기를 추천하는 네티즌이 많다. 먹는 온도에 따라 각기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추천 이유다. 신주쿠교엔마에 2번 출구에서 도보 3분. 영업시간은 10:00~19:00이며, 토·일·공휴일은 쉰다.

[사진=타비 채널]

◆ 우동 맛집 ‘가루카야’

‘Karukaya’. 이케부쿠로(池袋)에 있는 우동 맛집이다. 세이부(西武)백화점 이케부쿠로 본점 푸트코트에 입점해 있다. 1968년부터 영업을 시작해 꽤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정성 들여 손으로 반죽해 뽑은 수제 우동과 소바(메밀국수)를 맛볼 수 있다. 사누키(讃岐) 우동 중에서도 매우 드문 두꺼운 두께의 우동이다. 차갑게도 따뜻하게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입맛에 맞게 골라 주문할 수 있다. 면 맛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차가운 우동을 먹는 것을 추천한다. 연중무휴이며 영업시간은 10:00~20:00이다. 이케부쿠로역에서 100m 정도.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오픈 테라스가 있다.

[사진=타베로그]

◆ 스테이크동 맛집 ‘아카사카 츠츠이 총본점’

‘赤坂 津つ井 総本店’. 스테이크동으로 유명한 맛집이다. 각종 미디어와 맛집 정보지에도 소개된 유명 맛집이며, 한번 맛보면 결코 잊을 수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므라이스와 햄버그도 유명하지만 대표 메뉴는 질 좋은 쇠고기를 잘 구워 고시히카리로 지은 밥 위에 얹은 ‘비프 스테이크동’이다. 고기 한 가운데 놓여 있는 버터가 스테이크의 풍미를 더욱 살려줘 잊을 수 없는 맛을 제공한다. 가격은 2만~3만원대이다. 점심 영업시간은 월~금은 11:30~15:00, 토·일·공휴일은 12:00~15:30이다. 아카사카역에서 400m 거리에 있다.

[사진=타비 채널]

◆ 츠케멘 맛집 ‘로쿠린샤’

‘六厘舎’. 도쿄 최고의 라멘 가게들이 모여 있다는 도쿄역 구내 ‘라멘 스트리트’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멘 맛집이다. 특히 사람들이 줄서 기다리며 먹은 메뉴는 바로 이 집의 대표 메뉴인 ‘츠케멘’. 츠케멘이란 진한 육수에 면을 담갔다가 건져 먹는 라멘이다. 돼지뼈 육수에 어분을 갈아 넣은 걸쭉한 형태의 소스에 중화풍의 면을 담가서 먹는다. 강하고 진한 맛의 육수와 우동 같은 쫄깃한 면발이 인기의 비결이다. 휴일이나 점심시간에는 긴 줄을 감수해야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업시간은 07:30~09:45, 10:30~23:00이다. 가격은 1만원선이다.

[사진=타베로그]

◆ 소바 맛집 ‘아즈마바시 야부소바’

‘吾妻橋 やぶそば’. 정통 ‘에도마에(江戸前) 소바’를 맛볼 수 있는 소바 맛집이다. ‘에도마에’라 하면 ‘도쿄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옛날식 소바 채반에 담겨 나오는 ‘모리소바’를 먹기 위해 항상 긴 줄이 늘어서 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찍지 않고 소바 그 자체의 맛으로 먹고, 그 다음 와사비와 파를 곁들여 쯔유에 찍어 먹는 것을 추천한다. 두툼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이 일품인 계란말이도 인기 메뉴다. 아사쿠사(浅草)역에서 300m 거리에 위치해 있다. 영업시간은 11:30~15:00이며 월요일과 화요일에 쉰다.

[사진=타비 채널]

◆ 텐동 맛집 ‘다이코쿠야’

‘大黒家’. 아사쿠사에서도 유명한 ‘텐동(튀김덮밥)’ 맛집이다. 무려 메이지(明治) 시대인 1887년에 창업한 역사 있는 가게이다. 이 집의 대표 메뉴는 검은 참기름으로 튀겨 낸 ‘에비텐동(새우튀김덮밥)’이다. 그릇 밖으로 삐죽 나올 정도의 큰 새우가 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빼곡히 네 마리나 올려 있다. 한입 베어 물면 고소한 향기와 탱글탱글한 새우 살이 씹히는 맛이 일품이라는 평가다. 장어 등 튀김 메뉴만을 따로 주문할 수 있다. 점심 영업시간은 11:30~14:30이며 저녁은 17:00~20:15이다. 일요일에도 영업하며 대신 월요일에 쉰다.

[사진=타베로그]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