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발행 순위 작년말 1위에서 올해 4위로 밀려
ELS 외 ELW·ETN 등 상품 라인업 확대 영향 풀이
ELW 시장점유율 확대...거래수수료 마케팅도
김성락·김연추 등 외부영입에 따른 변화 주목
[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지난해 ELS 발행 규모 1위에 올랐던 미래에셋대우가 올 들어 발행 비중을 크게 줄인 배경이 관심에 모아지고 있다. 시장에선 연초 파생상품 운용파트 강화와 더불어 한국투자증권이 독점하던 주식워런트증권(ELW) 마케팅 강화에 나서는 등 전략 수정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서울 을지로 미래에셋센터원빌딩 <사진=미래에셋대우> |
2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 1위는 삼성증권(2조7038억원)이 차지했다. 지난해 대규모 배당오류 사태에 따른 영업정지가 올 1월 마무리된 이후 공격적인 영입에 나서며 ELS 시장에서도 점유율 확대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된다.
2위와 3위는 각각 한국투자증권(2조6147억원), KB증권(2조5365억원)이 이름을 올렸다. 작년 하반기 글로벌 증시 조정으로 실적에 악재가 됐지만 연초 이후 반등에 나서며 투자자 뿐 아니라 금투사들의 관심이 재차 ELS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반면 지난해 2위와의 격차를 4000억원 이상 벌리며 ELS 발행에 적극적이던 미래에셋대우는 1분기 발행액이 2조4195억원에 그치며 4위로 밀려났다. 시장점유율만 따지면 지난해 16.3%에서 1분기 12.2%로 4.1%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 같은 변화에 대해 업계에선 작년말부터 파생상품 강화에 나선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미래에셋대우는 작년 4분기 어닝쇼크의 가장 큰 요인이던 트레이딩 부문 손실 만회를 위해 인재 영입에 적극 나섰다. 1월 초 트레이딩1 부문대표에 김성락 전 한국투자증권 투자금융본부장(전무)을 영입한 데 이어 에쿼티(Equity)파생본부장에 김연추 전 한국투자증권 투자공학부 팀장(차장), FICC파생본부장엔 강현석 전 대신증권 FICC팀장을 선임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김연추 본부장은 지난해에만 1조원 이상 팔린 ‘TRUE 코스피 양매도 5% OTM 상장지수증권(ETN)’을 설계해 연간 상여금만 20억원 이상 수령해 이목을 집중시킨 인물이다.
이에 따라 ELS에 집중돼 있던 미래에셋대우의 파생결합증권 판매 전략도 ELW나 ETN, 선물·옵션 등으로 확대됐다. 특히 ELW의 경우 압도적인 시장지배력을 가진 한국투자증권을 추격하려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지난 25일 기준 미래에셋대우가 한국거래소에 상장한 ELW는 총 664개다. 1059개를 기록한 한국투자증권에 이어 2위다.
발행사별 ELW 상장 비중 현황 [자료=한국거래소] |
일평균거래대금 역시 전체의 약 80%을 장악한 한국투자증권에 이어 2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10%을 갓 넘겼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거래대금 비중을 17%까지 늘린 상태다. 한국투자증권에서 김성락 대표, 김연추 본부장을 동시 영입한 효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달 초부턴 미래에셋대우 발행 ELW 거래 시 매매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ELW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고객 기반 확대를 위한 결정”이라며 “수수료 면제 이벤트를 시작으로 LP 트레이딩 로직 개선과 하드웨어 성능 업그레이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이런 추이가 꾸준히 지속될지에 대해선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미래에셋대우는 과거에도 ELW 발행에 적극 나섰다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경험이 있다. 2017년 통합법인 출범 직후 공격적으로 ELW를 발행했지만 정부의 각종 규제에 막혀 시장 활성화에 실패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최근에도 금융당국의 이 같은 시선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한때 세계 최대의 ELW 거래량을 자랑했지만 정부는 개인투자자의 무분별한 진입과 손실을 제한한다며 각종 규제를 신설해 ELW 시장의 고사시켰다. 이에 대해 증권사 관계자는 “원금 손실 위험에만 포커스가 맞춰지면서 파생상품의 다양한 매력을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며 “당국의 지나친 간섭으로 쓸 수 있는 카드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여기에 외부 인력 수혈을 통한 체질 개선 첫해인 만큼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기까지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망도 나왔다.
또 다른 금투업계 관계자는 “국내 증권사 간에도 기업 문화나 의사결정 프로세스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며 “어떤 업종보다도 시장의 변화가 빠른 만큼 새로 영입된 인사들이 어떤 성적표를 받아낼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