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모객 경쟁, '미용 의료서비스 품질 기대 이하'
문제 많은데도 중국자본 한국 투자는 계속해서 증가
[서울=뉴스핌] 강소영 기자=한·중 관계 온도에 상관없이 중국인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성형 한류'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한국 성형외과 병·의원에서 성형수술을 받고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중국인들이 늘어나고, 한국 의료기관과 중국인 간의 의료분쟁이 증가하면서 한국 '성형 산업'에 대한 중국의 비판과 무분별한 원정성형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점점 고개를 들고 있다.
중국 유력 매체 디이차이징르바오(第一財經日報)는 최근 한국 현지 취재를 통해 한국 '성형 관광'의 실태 고발에 나섰다. 이 매체는 우리나라 성형산업 내부의 고질적인 구조적 문제를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중국인 피해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자국민에게 한국 '원정 성형'의 위험성에 대한 경감심을 불어일으켰다.
◆ 중국 매체 취재에 드러난 '성형 왕국'의 민낯
'사드 배치'로 촉발된 한·중 외교 관계 냉각은 중국 내 한류 열풍에도 찬물을 끼얹었다.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한류 산업' 전반이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성형 의료' 시장은 날로 늘어나는 중국인 의료 관광객으로 호황을 누리며 '한류 무풍지대'로의 면모를 드러냈다.
한국 보건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한국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은 외국인은 모두 37만9000명(연인원)으로, 전년 대비 17.8%가 증가했다. 진료 과목으로는 피부과와 성형외과 등 미용 관련 과의 비중이 3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2018년 한국에서 피부과와 성형외과 등 미용과 관련된 의료 서비스를 받은 중국인은 연인원 10만 명에 달했다. 한국으로 의료관광에 나선 외국인 가운데 1/3이 중국인인 것이다. 한국의 상당수 성형외과와 피부과가 중국인에 기대 생존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현지인의 피부과와 성형외과 이용 증가율이 전년 대비 10%에도 못 미치는 반면, 한국에 와서 미용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국인의 연간 증가율은 46.4%에 달했다.
디이차이징르바오는 중국인이 한국 미용 및 성형 의료 산업 성장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음에도, 한국 성형 의료 산업의 구조적 문제로 인한 중국인의 피해 사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디이차이징은 크게 ▲ 치열한 환자 유치 경쟁과 신뢰할 수 없는 의료 서비스 품질 ▲ 무자격 상담사를 통한 모객 ▲ 전문의가 아니어도 성형외과 및 피부과 진료가 가능한 한국 의료법의 모호한 규정 ▲ 소규모 의원의 안전 불감증▲ 의료 분쟁이 발행해도 외국인이 피해 보상을 받기 힘든 제도적 한계를 주요 문제로 지목했다.
이 매체가 고발한 한국 성형의료 산업의 문제점은 우리나라 내부에서도 줄곧 제기돼왔던 병폐들이다. 압구정 모 거리에만 백 개에 가까운 성형외과와 피부과가 몰려있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디이차이징은 높은 중개 수수료, 임대료와 인건비를 감당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환자 '모객'에 나서는 실태를 실제 취재를 통해 확인했다.
한국 성형외과 의원의 중국인 환자 모객은 주로 전문 중개 업체와 중국어 소통이 가능한 전문 '상담실장(코디네이터)'에 의존해 이뤄진다. 중국인 환자를 소개해주는 전문 중개 업체에 많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일부 병·의원들이 진료비를 과다 청구하거나, 제대로 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해 의료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중국인 관광객과 직접 소통이 가능하고 모객 실적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담실장'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한국의 모 성형외과 의원에서 3년 동안 중국인 환자를 전담하고 있는 중국인 상담실장 쑨(孫)씨는 다이차이징과 인터뷰에서 "의사소통이 원활한 중국인 상담실장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상담실장의 역량에 따라 중국인 환자의 시술 혹은 수술 범위가 달라지고 병원의 '매출'도 좌우된다. 이 업종에서 소위 잘 나가는 상담실장의 월급은 의사 못지 않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무자격' 코디테이터들이 무분별한 모객에 나서면서 적지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외국인 환자를 소개하는 중개업체 및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전문 상담사 자격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한국 국제의료 관광코디네이터협회에 따르면,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는 신규 인력이 매년 1만 명씩 늘어나고 있다. 이 가운데 66%가 중국 상담사다.
그러나 디이차이징은 자체 취재를 통해 자격증을 취득한 '상담실장'을 고용한 병의원이 많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서울 강남에 위치한 네 곳의 성형외과와 한국 미용의료 서비스를 중개해주는 업체를 직접 연락한 결과 네 곳 모두 무자격 상담사가 안내를 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천차만별인 의료 서비스 가격도 지적했다. 해당 매체 기자가 5곳의 한국 성형외과에 보톡스 주사 시술 가격을 문의한 결과 의원별로 최대 9배까지 가격차이가 났다. 서울의 한 성형외과 의사는 디이차이징과의 인터뷰에서 "미용 분야 의약품 원가가 높지 않지만 외국 환자 모객을 위해 많은 중개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결과적으로 일부 시술 가격이 과도하게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디이차이징은 복잡한 수익구조와 과도한 경쟁이 환자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80% 이상의 한국 성형외가 의원이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환자의 안전을 위해 마취과 의사, 충분한 수의 간호사를 고용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마취과 의사가 상주하지 않고, 간호 조무사를 수술에 동원하는 의원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부 병원에서 간호사 혹은 제약회사 영업사원이 의사 대신 '대리 수술'에 나서는 불법 사례도 함께 소개 했다.
의료분쟁이 발생해도 중국인들이 적절한 피해 보상을 받기 힘든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한국 로펌에서 근무 중인 중국인 진이(金毅) 변호사는 의료분쟁의 특성상 한국 현지인일지라도 의료 소송에서 승소하기가 매우 어렵고,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중국인은 의료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더욱 적다고 설명했다.
◆ 한국 성형 의료 산업 폭풍 성장 뒤에는 거대 중국 자본
사실 '한국 원정 성형'의 문제점과 피해 사례 증가에 대한 '경고'는 최근 수년간 중국 내부에서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으로 '성형 원정'에 나서는 중국인이 증가하는 것은 중국 의료 서비스 품질에 대한 불신, 대규모 중국 자본의 한국 시장 진출 때문이다.
특히 한국 성형 및 미용 의료 산업에 대한 중국 자본의 투자는 매우 공격적이다. 한·중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 2015년 이후 중국 자본의 한국 의료산업에 대한 투자 규모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디이차이징이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2015~2018년 한국 의료산업에 대한 중국 자본의 투자 규모는 연간 25%의 속도로 확대됐다.
현재 한국의 피부과 세 곳에 투자하고 있는 중국인 투자자 리유(李優)는 "한국에서는 의사자격증이 없으면 병의원을 개원할 수 없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 (사무장 병원까지) 더하면 실제 중국 자본의 투자 규모는 공식 통계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밝혔다.
리유는 "피부과는 성형외과에 비해 의료사고에 대한 부담이 적지만, 수익성은 뒤지지 않아 최근 중국 자본의 투자처로 인기가 높다. 내 주변에도 한국 미용 의료 산업에 투자를 알아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라고 밝혔다.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