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절 소비액 작년 대비 8.5% 증가
해외여행은 일본행이 태국 제치고 1위
극장가 박스오피스 50억 위안 돌파
[서울=뉴스핌] 정산호 기자 = 이번 달 1~7일까지 이어진 중국 궈칭제(國慶節, 국경절) 연휴가 끝나면서 '국경절 내수 경제 성적표'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표적인 소비 '대목'인 국경절 연휴는 중국인이 여행 및 소비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간 중 하나다.
최근 중국 당국이 내수 진작에 역점을 두고 있는 만큼 해당 기간 소비 규모, 대상, 방식은 시장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 |
올해 국경절 경제 데이터의 하이라이트는 연휴 기간의 소비 총액이다. 8일 중국 상무부(商務部)가 발표한 통계치에 따르면 2019년 국경절 기간 중국 내 소매 및 요식업 업종 매출은 1조5200억 위안(약 255조원)을 기록했다. 2018년 매출 1조 4000억 위안 대비 8.5% 증가했다.
상무부는 2019년 국경절 연휴 기간 쇼핑, 요식업 등 전통 소비는 물론 여행, 문화, 스포츠 등 새로운 형태의 소비 또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중국 당국이 야심차게 추진 중인 '야간 경제'를 필두로 개성화, 고급화, 스마트화 등의 소비 업그레이드 흐름 또한 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 |
국내 관광객 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국 문화여유부(文化和旅遊部)가 발표한 '국경절 문화 및 여행시장 통계'를 살펴보면 올해 국경절 연휴 기간 중국 국내 관광객 수는 연인원 7억8200만 명으로 2018년(7억2600만 명) 대비 7.81% 늘었다.
관광수입은 6497억1000만 위안(약 108조원)으로 2018년 5990억8000만 위안(약 100조원) 대비 8.47% 증가했다.
중국 대형 여행사 씨트립(携程)이 발표한 ‘2019년 국경절 여행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국내 여행지 가운데 1인당 평균 관광 소비액 1위 도시는 선전(深圳)으로 평균 3324 위안(약 55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베이징(北京), 선양(瀋陽), 지난(濟南) 이 뒤를 이었다.
![]() |
해외여행에 나선 중국인 관광객은 700만 명으로 집계됐다. 문화여유부는 올해 해외 여행객 특징으로 ‘개성화’를 꼽았다. 유명세가 아닌 개인 기호에 맞춰 목적지를 선택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헝가리, 체코, 캄보디아 등 새로운 관광지를 찾는 중국인이 늘었다고 전했다.
또 한가지 주목할 지점은 일본행 관광객 증가다. 자유여행 기준 해외여행 선호지 조사에서 일본이 태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국경절 연휴 기간 일본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018년 대비 30%가까이 증가했다.
![]() |
씨트립 관계자는 “일본 여행에 필요한 비자발급 요건 간소화 영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근 일본 당국은 중국 관광객에게 전자비자 발급 서비스를 시작했다. 전자비자는 영사관 방문 없이 인터넷으로 비자를 신청·발급받을 수 있는 제도다.
또한 대만 인기 가수 저우제룬(周杰倫, 주걸륜)의 신곡 뮤직비디오 촬영이 일본에서 촬영된 점도 인기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국경절 기간 중국 박스오피스는 50억 위안(약 8385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나와 나의 조국', '중국 기장', '등반자' 등 애국주의를 소재로 한 영화들이 큰 사랑을 받았다. 신중국 건국 70주년에 더해 미·중 무역 전쟁, 홍콩 사태 영향으로 생겨난 애국주의 열풍이 흥행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chu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