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감독 당국의 칼 끝이 실리콘밸리를 정조준하는 가운데 미국 IT 공룡 기업들이 로비에 뭉칫돈을 쏟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가 반독점을 포함한 각종 규제로 기업들의 숨통을 조인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여기에 관세 전면전과 그 밖에 정책 불확실성 역시 로비 자금이 대폭 늘어난 배경으로 꼽힌다.
페이스북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21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3분기 480만달러의 로비 자금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에 비해 70%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아마존 역시 같은 기간 로비에 400만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했다. 애플도 3분기에 지출한 로비 자금이 18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배해 34% 늘어났다.
이 밖에 오라클이 170만달러를 로비에 투입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이상 늘렸고,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로비 지출도 230만달러에 달했다.
기업들의 로비 비용이 대폭 상승한 것은 날로 수위를 높이는 규제와 무관하지 않다. 지난달 미 전역 검찰 총장 50명이 구글의 반독점 조사에 착수했고, 앞서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아마존이 소매 업계를 파괴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며 반독점 관행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법무부 역시 지난 7월 구글과 페이스북 등 IT 대기업의 반독점 조사에 나섰다고 밝혔고, 페이스북의 채팅 앱 인수가 불발되는 등 기업들의 외형 확대에도 제동이 걸리는 상황이다.
이 밖에 페이스북은 회원 정보 관리가 도마 위에 올랐고, 정치적인 성향의 콘텐츠 관리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아마존도 미 국방부와 클라우드 사업 부문 계약부터 문어발식 기업 인수합병(M&A)까지 비즈니스 전략을 둘러싼 정책자들의 비판이 거세다.
여기에 아마존에서 상품을 거래하는 수 백만의 판매자들에 대한 공정성 문제에 조명이 집중된 상황이다.
애플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대대적인 로비를 벌였다. 아울러 특허와 데이터 관련 로비에도 작지 않은 비용이 발생했다.
구글도 마찬가지. 디지털 광고와 사이버 보안, 글로벌 교역 등 굵직한 쟁점과 관련해 활발할 로비를 벌였다.
가뜩이나 경기 한파로 인해 수익성 압박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워싱턴 리스크까지 이중고를 치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