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이란 정부가 휘발유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에 대해 승리를 선언한 이후에도 인터넷 사용이 여전히 제한되고 있다고 CNBC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IT기업 오라클은 지난 16일 이란의 인터넷 접속률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나서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 유가인상 항의 시위 현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국제 인터넷 감시 단체인 넷블록스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15일 저녁부터 급속하게 떨어지기 시작, 다음날인 16일 오전에는 다수의 도시에서 평소와 비교해 4%에 불과한 접속률을 보였다. 넷블록스는 21일 접속률이 평소 대비 10%까지 올랐지만 규제가 풀렸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이번 시위는 지난 15일 정부가 휘발유 가격을 최소 50% 인상하고 구매량을 월 60L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이란 곳곳에서 방화와 폭력 사태가 일어났고 정부는 시위대에 강경 진압을 예고했다. 더욱이 안보 당국이 인터넷 통제에 나서면서 시위 관련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워졌다.
국제 인권단체인 앰네스티는 이란 내 21곳 지역에서 최소 106명의 시위자가 사망했다고 밝혔다. 단체는 "이란 정부군이 과도하게 무력을 사용해 시위를 진압, 치명적이고 끔찍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란 뉴스 통신사 파르스에 따르면 이란 정부 관계자들은 엠네스티 주장이 허위정보라고 반발하며, 수 십만 명의 친정부 지지자들이 반정부 시위에 맞서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위 촉발 엿새째가 되던 20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반정부 시위에 대해 승리를 선언했다. 이란 관영 매체인 프레스TV 보도에 따르면 로하니 대통령은 "이란이 경제 문제과 사회 불만에 직면했지만 절대 외부의 적에게 유리한 대로 가게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을 비롯한 외세와 시오니스트(유대민족주의자)가 시위의 배후라고 주장했다.
이번 시위는 미국의 대(對)이란 조치와도 관련이 깊다. 미국은 지난 2018년 이란핵합의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을 탈퇴한 후 이란에 대한 제재를 전면 복원, 이로 인해 이란의 주요 수입품인 석유 역시 제재 대상에 올랐다. 이에 따라 이란에 가해지는 경제적 압박이 커지고 시민들의 생활에도 타격을 미치게 된 것이다.
CNBC는 이번 사태로 시민들의 불만을 인지한 이란 정부가 내년 안에 미국과의 협상 자리를 갖도록 압박받게 됐다고 전했다.
lovus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