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 확정…89개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대형 융복합 과제 추진, 안전관리 강화 등 R&D 투자체계 혁신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정부가 올해 '에너지 기술개발'에 1조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한다. 특히 에너지전환 뒷받침을 위한 16대 중점분야에 예산의 90% 이상 집중하고, 대형 융복합 과제 추진, 안전관리 강화 등 연구개발(R&D) 투자체계도 혁신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이같은 내용의 '2020년 에너지 기술개발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89개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공고했다.
올해 산업부는 에너지 기술개발에 전년대비 19.1% 증가한 9163억원을 투입한다. 이중 2021억원은 신규과제에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에너지전환과 에너지산업 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16대 중점기술 분야에 90% 이상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이를 위해 신규과제의 95%(1928억원)를 16대 중점기술 분야에서 선정하기도 했다. ▲수소(431억원) ▲원자력(270억원) ▲산업효율(176억원) ▲에너지안전(165억원) ▲에너지저장(143억원) ▲수송효율(137억원) ▲태양광(110억원) ▲풍력(93억원) 등이다.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16대 중점기술 분야 [자료=산업부] 2020.01.20 jsh@newspim.com |
또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라 16대 중점기술 분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신규과제 발굴·기획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술 융복합에 대비해 산·학·연이 협력하는 대형 플래그쉽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우선 올해부터 16개 대형 플래그쉽 프로젝트를 계획 중에 있다. ▲에너지다소비 업종별 맞춤형 스마트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개발(60개월, 354억원 내외) ▲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60개월, 290억원 내외) ▲건물 외장재·설비 융복합 기술개발 및 성능평가 체계(60개월, 300억원 내외) 등이다.
대형 융복합형 과제 발굴·기획을 위해 '기술센싱 그룹'을 운영하고 사전타당성 조사 도입 등 과제기획 절차도 개선할 계획이다. 기술센싱 그룹은 민간기업·공기업 최고기술경영자(CTO), 출연연 전문가, 학계 석학 등으로 구성된다.
'안전관리형 과제' 지정 등을 통해 기획부터 평가까지 기술개발 전 과정에서의 과제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우선 신규과제 중 기술개발·실증 과정에서 중점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한 26개 과제는 '안전관리형 과제'로 지정해 별도 관리한다. 안전관리형 과제는 안전관리 사항 등을 기술개소서(REP)에 명시하고, 선정평가 시 안전성 검토결과를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과제는 전문기관의 정기점검을 받도록 하고, 과제종료 후 5년간 안전책임자를 지정해 관리하게 하는 등 밀착관리한다.
기타 과제에 대해서도 지난해 연말에 개정된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기획부터 평가까지 과제 전 과정에서의 안전관리 책임을 강화한다.
에너지산업 생태계 변화에 부응하고, 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술과 시장·수요와의 연계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신규과제 중 절반 이상인 50개 과제는 기술 수요자인 에너지공기업 또는 대기업이 참여하는 '수요연계형 기술개발'로 기획했다. 또한 기술혁신형 에너지강소기업 육성사업(17억원)을 새롭게 도입해 에너지 분야 벤처기업의 성장과 에너지산업에서의 새로운 사업모델 창출을 적극 지원한다. 에너지신산업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해 '에너지융합 대학원'을 선정하고 향후 5년간 총 50억원을 지원하는 투자도 지속하다.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자료=산업부] 2020.01.20 jsh@newspim.com |
이번 사업공고와 관련한 상세 내용은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2~3월 중 사업계획서 접수 후 선정평가를 통해 사업수행자를 확정하고, 4월말까지 협약을 맺어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고내용, 과제 신청방법, 향후 일정 등에 대한 안내를 위해 1월 31일과 2월 6일 양일에 걸쳐 사업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산업 경쟁력 강화, 기술 융복합 시장 선점 등을 위한 에너지 기술개발에 7710억원을 투자했다.
이를 통해 차세대 태양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270MW급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 화력발전소 미세먼지 집진 효율 10배 향상기술 개발 등 성과를 만들어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