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日, 버려진 '마스크' 처리에 골치...전문가 "감염 위험 있어" 경고

기사입력 : 2020년03월17일 15:33

최종수정 : 2020년03월17일 15:34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일본에서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길거리 등에 함부로 버린 마스크 처리가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쓰다 버린 마스크로 인해 다른 사람이 감염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며 "함부로 버리지 말 것"을 당부했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김선미 기자 = 일본 도쿄 시내에서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에 저마다 마스크를 쓰고 걷고 있다. 2020.02.28 gong@newspim.com

17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도쿄 시부야(渋谷)역 근처 주점의 한 종업원은 "테이블이나 소파에 두고 간 마스크 처리에 머리가 아프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손님들에게 가져 갈 것을 요청하지만 두고 가는 사람도 많다. 많은 날은 5~6장까지 나온다"며 "영업 중에는 장갑을 낄 수 없어 맨손으로 치울 수밖에 없다. 너무 불안하다"고 말했다.

[도쿄 지지통신=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길거리에 버려진 마스크. 2020.03.17 goldendog@newspim.com

함부로 버린 마스크로 인해 쓰레기 줍기 봉사 활동에도 비상이 걸렸다. NPO단체 '그린버드'는 2월 말부터 봉사 활동을 중단했다. 버려진 마스크나 담배꽁초를 줍다가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린버드의 관계자는 "쓰레기를 주울 때는 장갑이나 집게를 사용하고 손씻기도 철저히 하고 있지만, 감염 위험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감염증 전문가인 지카모리(近森)병원의 이시다 마사유키(石田正之)는 "쓰다 버린 마스크로부터 감염될 가능성도 제로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물건에 붙어 있는 바이러스의 생존 기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중에는 플라스틱 용기에 붙은 경우 20도 온도에서 6~9일간 생존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남이 사용한 마스크는 가급적 맨손으로 만지지 말고, 만져야 할 때는 귀에 거는 끈 부분을 잡을 것"을 권고했다.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환율 한때 1480원대...2009년 3월이후 최고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달러/원 환율이 장중 1480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환전소 전광판에 환율이 나타나고 있다. 2024.12.27 mironj19@newspim.com   2024-12-27 12:56
사진
'모바일 주민증' 27일부터 시범 발급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앞으로 17세 이상 국민 모두가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담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7일부터 전국민의 신분증인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시범 발급한다고 26일 밝혔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행안부 제공2024.12.26 kboyu@newspim.com 행안부에 따르면,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 먼저 세종특별자치시, 고양시 등 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발급을 해 시스템 안정성을 검증한 뒤 내년 1분기 중 전국에서 발급할 계획이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법령에 따라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되는 법적 신분증으로, 기존 주민등록증을 소지한 모든 국민(최초 발급자 포함)이 신청할 수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2021년부터 제공된 모바일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재외국민 신원확인증에 이어 네 번째 추가되는 모바일 신분증이다. 행안부는 먼저 세종시, 전남 여수시, 전남 영암군, 강원 홍천군, 경기 고양시, 경남 거창군, 대전 서구, 대구 군위군, 울산 울주군 등 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시범 발급하며, 이후 내년 1분기 중으로 전 국민에게 발급할 계획이다. 시범 발급 기간 동안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해당 지역인 주민들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IC주민등록증'을 휴대폰에 인식시키거나 'QR 발급' 방법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할 수 있다. 전면 발급 시에는 정부24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시 6개월 이내의 사진을 제출해야 한다. QR 발급 방법은 사진 제출이 필요 없지만, 주민등록증 사진이 오래된 경우 모바일 신분증 앱에서 안면 인식이 어려울 수 있어 재발급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가능하다. 한편,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블록체인과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정보 유출 및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본인 스마트폰에만 발급되며, 분실 시에는 잠김 처리되어 도용을 막을 수 있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1968년 주민등록증 도입 이후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변화가 이루어졌다"며 "이번 시범 발급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 2024-12-26 13: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