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 무인차량 잠재력 드러나
위안위언 CEO, 5G시대 주역은 '자율주행차'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최근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며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무인(無人) 차량 스타트업이 있다. 중국의 자율주행 상용차 기업 네오릭스(Neolix·新石器無人車)이다.
코로나19가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를 휩쓸며 각 국의 경제 활동이 '일시 정지'에 진입한 가운데, 비대면비〮접촉 상거래를 기반으로 한 기업들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네오릭스는 전염병 진원지인 우한을 비롯한 중국 전역에서 무인 차량을 통한 음식 배송 및 소독 작업을 수행하면서 전 세계인의 '눈도장'을 받았다.
◆코로나19 여파에 자율주행 상용차 효율성 입증
신종 코로나 감염증(코로나19)이 기승을 부리던 2월. 매일 오전 무인차가 베이징의 한 식당을 출발해 300여 미터 떨어진 베이징시 하이뎬병원(海澱醫院)의 병원 격리병동 앞까지 한 번에 50인분의 음식을 날랐다. 총 100여명의 병원 의료진 먹거리를 책임지는 '식사 당번'은 다름 아닌 네오릭스의 자율배송 차량.
음식 배달 외에도 네오릭스의 자율배송 차량은 선전 및 광저우의 격리 시설 등 전염병 확산이 심각한 지역에서 소독 작업을 진행하면서 사람간 교차 감염 위험을 낮추는 한편, 방역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2015년 12월 스타트업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으로 출발한 네오릭스는 자율주행 차량 분야에 첫 발을 디뎠다. 이후 2018년 회사가 정식으로 출범됐고, 같은 해 7월 자율주행 기반의 무인 차량을 처음 출시했다. 네오릭스는 2019년말 기준 200대 가량의 무인 차량 주문을 수주했다.
네오릭스의 무인 상용차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판매 채널 역할을 하는 유통형 차량, 지역 정찰을 담담하는 보안용 차량, 상품 배송 및 화물 수송 역할을 수행하는 택배 및 운수 차량으로 분류된다.
차량 차체 폭은 1m로 좁은 도로 환경에서도 운행이 가능하고, 화물 탑재공간은 2.4 ㎥로 승합차 적재량과 유사한 규모다. 공원, 캠퍼스, 공단 등 다양한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하다.
현재 네오릭스 자율주행차량은 베이징 인근의 슝안신구(雄安新區),차오양공원(朝陽公園) 셔우강위안구(首鋼園區),차이냐오물류단지(菜鳥物流園) 등 지역에서 운영중이다.
네오릭스는 바이두의 자율주행 협력사이기도 하다. 현재 무인 차량을 움직이는 두뇌인 자율주행 시스템은 바이두의 아폴로(Apollo)를 채택했고, 자율주행 레벨4 수준의 주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
대규모 차량 양산을 위한 제조 라인도 보유하고 있다. 2019년 장쑤성(江蘇省) 창저우(常州)시에 제조라인 구축 했고, 연간 3만대 이상의 차량을 제작할 수 있다.
상품을 판매하는 유통 채널을 역할을 하는 무인차량 |
◆ 5G 시대 주역 무인차, 전염병 확산에 진가 발휘
"5G(5세대 통신) 시대엔 무인차(無人車)가 새로운 주역이 될 것이다"
자율주행차량 업체 네오릭스의 창업자인 위언위안(余恩源) CEO의 말이다. 그는 최근 중국 매체 펑파이(澎湃)와의 인터뷰에서 3G~4G 시대엔 스마트폰이 탄생됐다면, 5G 시대엔 주목할 만한 디바이스로 자율주행차를 꼽았다.
사람의 개입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차량은 신에너지차, 인공지능(AI), 로봇 기술이 융합된 첨단 기기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위언위안(余恩源) CEO |
코로나19 사태는 네오릭스 자율주행차량의 잠재력을 여실히 증명하는 계기가 됐다. 그는 우한에서 총 18개의 무인 차량이 병원 및 시내 곳곳에서 소독 작업 진행 및 물품 배송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무인 차량을 통해 매일 평균 300개 가구에 생활 용품을 공급하면서 우한 주민들의 일상 생활을 지원하는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했다는 것.
위언위안 CEO는 창업 전 물류 분야의 기술을 오랜 시간 연구해 왔다. 그는 가솔린차 대신 등장한 신에너지 차량과 차량 네트워크를 결합된 자동차 모두 물류 효율 향상면에서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결국 물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은 자율주행 기반의 물류차란 결론을 도출했다.
무인 상용차의 보급 확산엔 약 4년이 소요될 것으로 봤다. 그는 '향후 2년 안에 기술이 급속히 업그레이드되면서 생산 원가가 급감하게 된다'라며 '3~4년 후엔 규모화 된 양산 체계를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