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뉴스, 전재료 → 광고 수익 배분 모델 전환
전문가 "자칫하면 기자들 영업 뛸 것" 우려
[서울=뉴스핌] 정윤영 김지완 기자 = 네이버가 언론사에 뉴스 공급 대가로 지급하던 전재료를 폐지하고 광고수익 대체안을 시행함에 따라 포털 후발주자인 줌(ZUM)이 분주히 새로운 수익 배분 모델 논의에 나섰다.
줌 관계자는 3일 "포털업계가 전반적으로 전재료를 폐지하고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으로 전환함에 따라 줌 역시 내부적으로 수익 배분(RS·Revenue sharing) 모델 도입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줌 뉴스 갈무리. [캡쳐=줌 홈페이지] 2020.04.03 yoonge93@newspim.com |
줌은 이미 자사 동영상 플랫폼 사업인 '딥다이브'를 통해 광고 수익을 콘텐츠제공자(CP)에 분배하고 있는데, '전재료 폐지' 추세에 맞게 RS를 포털뉴스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딥다이브는 CP부터 영상을 수집해 관련 뉴스영상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이 관계자는 "줌은 이미 딥다이브를 통해 광고 수익 분배를 어느정도 실현하고 있다"며 "어떡하면 언론사에 수익이 좀 더 갈 수 있을지 상생 차원에서 고민한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언론사와 협의해 차차 뉴스포털까지 수익 쉐어 모델로 전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 국내 대형 포털은 이미 전재료를 전격 폐지하고 새로운 광고 수익 모델을 언론사에 제시하고 있다.
카카오는 2018년 하반기부터 기사 페이지 내에 광고를 삽입해 광고 수익을 언론사에 분배하고 있고, 네이버 역시 지난해 11월 발표한 개정안에 따라 4월말 전재료 폐지를 앞두고 있다.
개정안에 따라 네이버 CP는 자율적으로 '중간 광고'를 삽입하는 등 수익 영역 전체에 대한 영업권을 갖게된다.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네이버가 4월말부터 전재료를 폐지하고 광고수익 대체안을 시행한다. [제공=네이버] 2020.04.03 yoonge93@newspim.com |
그동안 네이버는 전재료를 둘러싼 크고 작은 잡음에 시달렸다. 우선 '헐값' 전재료로 인해 언론사에 돌아가는 수익이 적다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한 IT 관계자는 "네이버는 언론사로부터 매년 전재료 인상을 요구를 받아왔다"며 "이에 부담을 느낀 네이버가 광고 수익 전환이라는 대안을 내놓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네이버 측에서는 "예전에 네이버 홈페이지에서 아웃링크로 언론사에 연결하는 아웃캐스트 서비스가 있었는데, 많은 언론사가 서버 비용 부담을 호소했고, 이로 인해 자극적인 광고가 나오게됐다"며 "비용 부담 없이도 지금처럼 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 것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전재료 제도는 기준이 모호하고 불투명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네이버는 이런 잡음을 잠재우기 위해 언론사 구독과 로열티를 반영한 광고 수익 배분 공식을 제시했다.
네이버 측은 전재료가 객관적으로 투명하게 공개가 되는 모델이 아니었던 것을 인정한다며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익 배분 모델을 전환했고 기준 역시 공개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개편안 시행 이후, 언론사의 수익이 지난 8분기 평균 수익 대비 줄어들 경우 향후 3년간 별도 재원을 통해 이를 보전한다는 방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새로운 모델이 언론사 간 실적 경쟁을 부추기고 뉴스 품질을 저하할 것이라고 비판한다.
송경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교수는 "시행 후 업계에 흘러나오는 목소리를 들어봐야 명확한 평가가 가능하다"면서도 "광고수익을 얻기 위해 자칫하면 기자들이 영업까지 뛰어야하기 때문에 언론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yoonge9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