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렉서스 ES, 폭스바겐 골프…수입차 '베스트셀링카' 잇달아 출격

기사입력 : 2021년09월27일 15:15

최종수정 : 2021년09월27일 15:15

렉서스 'New ES' 출시...외관 바꾸고 'F SPORT' 모델 출시
수입차 판매 TOP10 자리 올랐던 폭스바겐 '골프'도 대기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수입차 업계가 올 하반기 업그레이드된 베스트셀링 카를 중심으로 판매량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더욱 세련된 디자인에 편의 사양도 확대돼 시장에선 벌써부터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렉서스의 전동화 모델을 대표하는 하이브리드 세단 'New ES'가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다. 아울러 폭스바겐도 지난 1974년 출시 이후 세계에서 흥행했던 골프(Golf) 신형을 이르면 다음 달 출시할 예정이다.

[사진=렉서스]

◆ 렉서스 ES300h, 이번엔 MZ세대 공략

지난 2012년 출시된 렉서스 ES300h는 8년 연속 수입차 하이브리드(HEV) 부문 베스트셀링카 자리를 지킨 모델이다. 누계 판매는 5만 대를 넘는 등 우리나라의 많은 소비자들이 선택한 차량으로 잘 알려져 있다.

7세대 부분 변경 모델로 새롭게 찾아온 ES300h는 외관 디자인 변화와 더불어 각종 편의 사양이 강화됐다.

먼저 전면 그릴을 변경했다. 수직과 횡라인을 동시에 강조하는 'L-Shape' 유닛의 프론트 그릴로 와이드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헤드램프 디자인도 바뀌었다. 헤드램프는 사다리꼴에서 직사각형 LED 렌즈로 변경, 배치했고 턴시그널 램프를 하나로 합체해 시인성을 향상시켰다.

내부는 세단에서 느낄 수 있는 안락함이 더욱 강조됐다. 상하 2분할 시트와 2열 공간을 여유롭게 설계했다. 터치스크린 기능이 새롭게 적용된 12.3인치의 대형 고해상도 모니터는 운전자 조작 편리성을 위해 이전 대비 112mm 앞으로 배치했다.

안전한 주행을 돕는 렉서스 세이프티 시스템 플러스(LSS+)를 강화했고, 감지 범위가 확대된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PCS; 교차로 긴급 제동 보조(ITA) 기능 추가), 커브 감속 기능이 추가된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 그리고 긴급 조향 어시스트(ESA) 지원 기능도 새롭게 적용됐다.

[사진=렉서스]

ES의 스트롱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5ℓ D-4S 가솔린 엔진에 대용량 배터리와 강력한 2개의 모터를 장착했으며 17.2 km/ℓ(New ES 300h), 16.8 km/ℓ(New ES 300h F SPORT)의 뛰어난 연비(복합 연비 기준)를 발휘한다. 아울러 다이나믹한 주행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New ES 300h 'F SPORT' 모델을 함께 출시했다.

렉서스는 베스트셀링카인 만큼 젊은 소비층 공략에도 공 들일 계획이다. 렉서스는 카카오TV 오리지널 '히든: 더 퍼포먼스'의 최종 우승자 1팀을 New ES 300h F SPORT 홍보대사로 선정한다. 또한 젊고 자기 가치관을 가진 젊은 장인과 농부 등을 선정해 2030세대의 공감을 자극한다는 계획이다.

이병진 렉서스코리아 상무는 "ES300h의 매력은 보는 시간과 빛,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매력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라며 "내년엔 전기차 버전의 UX와 NX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폭스바겐 '골프'도 출격 대기

또 다른 베스트셀링카인 폭스바겐 '골프'도 출격 대기 중이다. 렉서스 ES와 마찬가지로 골프 또한 지난 2009년 수입차 판매 9위에 오른 이후 7년 동안 TOP10에 머무른 베스트셀링카다.

앞뒤로 튀어나온 자동차의 모습이 아닌, 뒷부분이 미끄러지듯 내려온 해치백 디자인이 특징이다. 호불호가 심한 해치백이지만 골프는 국내 시장에서 인기를 끌며 흥행한 바 있다.

7세대 골프 [사진=폭스바겐]

특히 2013년에 출시된 7세대 골프는 3000만원대 가격으로 수입차 진입 장벽을 대폭 낮췄다. 스포티한 감각에 콤팩트한 모델을 찾는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환영을 받으며 판매량이 증가했지만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여파로 지난 2016년 국내서 판매가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난 2019년 8세대 신형 골프가 다시 유럽에서 판매됐고, 31만대 이상이 판매되며 골프 흥행이 다시 시작됐다. 우리나라는 당초 지난해 출시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출시 시기가 다소 지연됐다.

모델 변경을 거친 8세대 골프는 2.0 TDI 디젤 모델로 오는 10월 이후 출시될 예정이다. 신형 골프는 폭스바겐 MQB 플랫폼을 적용했다. 차제 무게는 기존 대비 100㎏가량 줄었다. 차체 크기는 전장 4284㎜, 전폭 1789㎜, 전고 1456㎜, 축간거리 2636㎜로 기존 골프와 비슷하다.

8.25형 터치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적용했다. 음성인식 기능과 스마트폰 연동 기능 등을 통해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도 활용할 수 있다.

고성능 가솔린 GTI 모델은 내년께 출시된다. GTI는 2.0ℓ 가솔린 터보 엔진과 7단 DSG 변속기가 탑재됐다. 최고출력은 245마력이다. 신형 골프 가격은 미정이나 시장에선 3000만원대로 예측하고 있다.

giveit90@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