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은지 기자 = "이념이 아니라 과학을 국정의 중심에 두겠습니다."
반(反) 탈원전 기조를 보이는 데 그쳤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더욱 확대된 범위의 '과학'을 드디어 언급했다. 정확히는 과학이 아닌 '과학기술'을 언급해야 했지만 말이다. 정보통신기술(ICT) 부분에서는 초융합·초연결의 주축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AI)'이란 단어를 데려왔다. 대한민국을 클린 모빌리티, 스마트 교통 선도국가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그동안 과학기술 담론은 대선 주자 중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다.
안철수 후보는 디즈니플러스가 한국에 상륙하던 날 토종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기업 왓챠를 찾아 고충을 들었다.
최근 KT 통신장애에 대해서도 안 후보만이 일침을 가했을 뿐이다. 기술이 더욱 고도화될 경우 원격 수술, 자율주행 분야에서의 사고 역시 감수해야 하는 심각한 사태였다.
앞서도 윤 후보는 4차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는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자유와 창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육과 제도를 조성해야 한다고도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이의 실현을 위한 세부 내용은 여전히 부재한 실정이다.
윤 후보의 발언에 반가운 마음은 들었지만 아직은 '쌀로 밥을 짓는 이야기' 정도에 그치는 느낌을 숨길 수 없다. 현재로서는 향후 나올 로드맵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단순히 한 '사회 공헌 지식 포럼'에서 시대적 의제에 대한 연설을 해야 했기 때문에 '원 오브 뎀(One of them)'으로써 나열한 것인지, 과학기술 강국이란 입지를 더 견고히 해야겠다는 자발적 의지가 담긴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경선 과정 중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유승민 전 의원도 삼성전자를 찾은 바 있지만 윤석열 후보가 어떤 기업을 찾았었는지에 대한 기억 역시 가물가물하다. 그가 과학기술 의제에 크게 관심이 없었음을 증명하는 단적인 예일지도 모르겠다.
여의도에는 '과학기술 중심 국가' 기조를 내세운 안 후보에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정도가 어울린다"고 말하는 목소리 역시 크다. 그만큼 상임위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제외하고는 여의도 전반에 4차산업혁명 사회, 과학기술 의제를 등한시하는 풍토가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예시다.
반면 밖에서는 삼성은 물론이거니와 네카라쿠배(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민족)로 통칭되는 기업의 위상이 날로 커지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은 2021년, 4차산업혁명을 견인하기 위한 곳곳의 발걸음이 매우 분주한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구글·아마존·페이스북·애플·마이크로소프트를 주축으로 한 'GAFAM'이, 중국에서는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화웨이를 주축으로 한 'BATH'가 파워 게임을 벌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이 중 어느 틈에 끼어들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은 떨칠 수 없다.
최근 부상하고 있는 OTT업계 역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의 주도권 다툼과 중복 규제 우려로 심각한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ICT업계 전반에서 요구하는 네거티브 규제 전환 과제 발굴 역시 갈 길이 멀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은 AI를 전면에 등장시켰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이영 당 디지털정당위원장은 최근 윤 후보에게 '비단 주머니 1호'인 온라인 댓글 조작 방지시스템 '크라켄'을 선물했다. 윤 후보가 머신러닝(기계학습)을 통해 탄생한 가상의 아바타를 전국 곳곳에 보내 선거 유세를 하도록 'AI 아바타'도 준비 중이다.
윤 후보 역시 AI 기반 '초연결 시대'의 수혜를 톡톡히 받게되는 셈이다. 'GPS 유세차'도 윤 후보의 선거 유세 지원을 앞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당의 의지가 더 거셌는지, 개인의 의지가 더 강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윤 후보가 이미 4차산업혁명의 한 가운데로 깊숙이 들어와 있음은 분명하다. 'AI 윤석열'이라는 별칭도 등장한 만큼 그가 소홀히 했던 과학기술 관련 전략의 환골탈태를 기대해본다.
kime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