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판문점 방문 때 북측지역 무성한 풀
"서로 의식 말며 살자" 김여정 발언 따르나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판문점을 방문한 지난 29일 북측 지역엔 인적이 없었습니다. 미국 측 고위인사가 찾을 땐 경비인력을 늘리고 카메라를 들고 나와 연신 찍어대던 이전과는 분위기가 달랐죠.
해리스 부통령은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과 북측 판문각을 가르는 군사분계선(MDL)에 섰습니다. 그의 옆에 전투복 차림으로 함께 한 사람은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입니다.
![]() |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지난 29일 판문점을 방문해 북측 판문각을 바라보고 있다. 오른쪽은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두 사람 뒷편으로 보이는 나트막한 콘크리트 경계석이 군사분계선(MDL)이고 그 너머로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2.10.03 yjlee@newspim.com |
이곳은 한미 관계자들 사이에선 T2라고 불리는 군사정전위 회의실과 T3로 불리는 일직장교 회의실 사이 폭 4m의 공간입니다. 파란색으로 칠해진 이 건물들은 MDL선상에 걸쳐 지어졌는데, T는 'Temporary'(임시의)를 의미하죠.
가건물 형태로 지어져 곧 사라질 줄 알았는데 내년이면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맞는다니 아이로니합니다.
이곳은 2018년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상회담을 위해 첫 대면한 현장이고, 이듬해 6월에는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이 만난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합니다.
해리스는 북한과 가장 가까운 곳에 선채 김정은 체제를 향해 "잔혹한(brutal) 독재정권"이라 일갈했습니다. 핵 위협과 인권 침해 등 북한 정권을 바라보는 미 바이든 행정부의 시각이 드러납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9년 6월 30일 오후 판문점에서 만나 군사분계선을 넘고 있다. 말끔하게 정리된 북측 지역 모습과 판문각 건물이 보인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런데 정작 제 눈길을 사로잡은 건 해리스도 아니고 군복을 입은 미 4성장군도 아닙니다.
두 사람 뒤로 드러난 무성한 잡초가 마음에 걸렸고, 아직까지도 불편함과 안타까움이 여전합니다. 판문각 계단까지 틈을 비집고 나온 풀들이 어수선했죠.
두 건물 사이의 이 소로는 남북한을 잇는 최소한의 소통창구였습니다. 남북 정상회담 같은 거창한 이벤트가 아니더라도 표류한 북한 선원들이 북송되고, 방북했다 돌아오는 우리 측 인원들의 귀환로가 됐죠.
논란이 되고 있는 2019년 11월 북한 선원 2명의 강제북송도 이 루트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여기에 잡초가 무성해졌다는 건 남북관계의 완전한 단절을 상징합니다. 북한이 최소한의 관리마저도 포기했다는 건 대남 차단막을 확실하게 치겠다는 의사표시이기도 하겠죠.
물론 코로나도 한몫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리스 부통령 방문 때도 북측 판문각에 흰색 방호복을 입은 군인이 창 너머로 촬영에 몰두하고 있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과학적 검증 결과와는 관계없이 여전히 공기 중으로 코로나가 감염된다고 믿고 있는 북한으로선 당연한 일이기도 합니다.
![]()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만나 군사분계선 경계석을 함께 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지만 잡초제거와 유지보수를 위한 최소한의 노력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북한 당국의 뜻은 분명해 보입니다. 이 정도면 잡초를 '키운다'고 할 정도겠죠.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 8월 담화에서 "제발 좀 서로 의식하지 말며 살았으면 하는 것이 간절한 소원"이라고 말했던 것과도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남북관계는 문재인 정부 시기부터 꼬일대로 꼬였습니다. 3차례의 정상회담을 하고 더 없이 좋은 시절을 누리는 듯 했지만 어느 순간 북한은 냉담해졌고, 문 대통령을 향해 '삶은 소대가리' 운운하는 상황까지 번졌습니다.
문 전 대통령과 그때 정부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최근 김정은의 핵·미사일 위협과 남북관계 단절에 아닌보살하는 건 무책임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무슨 이유로 그 좋던 문재인-김정은 간 호흡이 헝클어졌는지 국민에게 밝혀야할 의무가 있습니다.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면 적어도 윤석열 정부에 귀띔은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엉킨 실타래를 풀어갈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테니 말이죠.
다시 판문점 소통로가 열려 남북이 오갈 수 있는 날은 언제쯤일까요. 북한 경비병들이 잡초제거 작업에 부산을 떨 시간이 기다려집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