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스마트 면세점 플랫폼 구상
입점업체 모아 한 곳에 볼 수 있다지만
과한 임대료에 없던 비용까지 발생 우려
면세점 혜택 늘려 새 사업기회 제공해야
사드 사태와 코로나 팬데믹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 고환율 쇼크에 빠진 면세업계. 본업에서 활로를 찾아야 하지만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입찰 공고가 수 개월 째 지연되며 면세사업자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면세업계가 인천공항과 함께 날아오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봤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추진 중인 '스마트 면세점 플랫폼'도 자칫 면세업계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지 않을까 우려의 시각이 크다. 인천공항공사는 공항에 입점해 있는 면세점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면세점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구상인데, 입점에 따른 임대료나 수수료를 내야 할 수 있어서다. 각 사별로 모바일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필요한 플랫폼인가에 대한 의구심도 크다.
[위기의 면세점, 돌파구는] 글싣는 순서
1. 콧대 높은 인천공항 임대료, 꺾일까
2. 인천공항의 쿠팡화?…"수수료까지 내야하나요"
3. 인천공항 입국 인도장 '득실' 따지는 이유는
인천공항공사는 조만간 예정된 1·2여객터미널(T1·T2) 출국장 면세점 사업권 입찰과 함께 '스마트 면세점 플랫폼'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공항이 공항 면세점에 입점한 면세점이 한 곳에 모여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 고객들이 면세품을 구입할 수 있는 채널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면세점의 모습. 2022.09.14 pangbin@newspim.com |
◆플랫폼 입점하면 수수료 발생하는데...실효성도 의문
각 면세사업자들이 운영하고 있는 플랫폼의 경우 지금은 관세청 규정에 따라 시내 면세점의 온라인 구매는 출국 3시간 전까지만 면세품을 살 수 있다. 온라인으로 구매를 하면 공항에 있는 인도장에서 물건을 찾아가는 구조다.
앞으로 스마트 면세점이 도입되면 스마트폰으로 탑승 30분 전까지 쇼핑이 가능해진다. 시내 면세점에서 출국 시간에 맞춰 촉박하게 쇼핑을 하지 않아도 되고, 공항으로 이동하면서 느긋하게 스마트폰으로 쇼핑할 수 있다는 게 인천공항의 설명이다.
문제는 인천공항은 면세사업자가 아니기 때문에 직접 면세품을 팔 수 없다는 데 있다. 결국 인천공항이 플랫폼을 만들면 면세사업자들이 플랫폼에 입점해 상품을 팔아야 하는 구조다. 인천공항이 카카오, 쿠팡 같은 플랫폼 운영업체의 역할을 맡는 셈이다.
여기서 면세사업자들은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인천공항의 플랫폼에 입점하면 입점 수수료나 판매 수수료를 추가로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미 면세사업자들은 인천공항에 막대한 임대료를 지불하며 수익성 악화에 빠졌다. 특히 새 출국장 면세점 사업권 입찰에서 인천공항은 임대료가 비싼 고정 임대료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 여기에 지금까지 지불하지 않았던 스마트 면세점 수수료까지 빠져나가야 되는 상황인 셈이다.
실효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인천공항이 구상하는 스마트 면세점은 출국장 면세점에 입점해 있는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직접 매장을 찾아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인천공항 플랫폼을 이용하더라도 구매한 제품은 면세점을 직접 찾거나 인도장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마찬가지다.
또 온라인 구매로 항공기 출발 30분 전까지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하지만, 해외로 나가는 항공기의 경우 최소 30~40분 전까지 탑승을 완료해야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면세사업자들은 시내 면세점을 대상으로 자사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쇼핑 채널을 확대하고 고객 편의를 늘리기 위한 목적이라면 각 사 플랫폼에서 30분전까지 구매가 가능하도록 허용해주는 방안도 있다.
[영종도=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구역에서 해외 여행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2.03.25 mironj19@newspim.com |
◆쇼핑시간 줄여 편의성도...혜택 제시해 새 사업기회 제공해야
고객 편의 입장에선 필요한 플랫폼이라는 의견도 있다. 넓은 공항을 돌아다니며 쇼핑을 해야하는 수고를 줄이고, 쇼핑 시간을 줄여 여유로운 출국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검토중인 입국 인도장이 설치될 경우 구매한 상품을 들고 출국하지 않아도 돼 실효성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중소·중견 면세사업자의 경우 온라인 채널 추가로 판로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영국 히드로공항, UAE 두바이공항, 스위스 취리히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과 같은 글로벌 주요 공항 면세사업자들은 온라인으로 면세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시도해보지 않은 서비스로 예상은 힘들지만, 스마트 플랫폼이 도입된 후 사업에 큰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실효성에 대한 여러 의문이 제기되면서 인천공항이 수익을 내기 위한 목적으로 접근하는 사업추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선 스마트 면세점이 안정적으로 도입되려면 고객이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입점해야 할 면세사업자에게 임대료나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을 제시해 새 플랫폼이 새로운 사업 기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