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효능 발표…재차 실력 증명
보수적인 미국 시장 진입 노력…인플레이션 감축법도 '주목'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삼성바이오에피스가 SB12 미국시장 진출을 벼르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13일 미국 혈액학회(ASH) 연례 학술대회에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SB12(성분명: 에쿨리주맙)'의 효능을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발표는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동등성 충족의 견실성을 입증한 민감도 분석 데이터로 진행됐다. 지난 2019년 기준 세계 제약 시장의 35%에 달하는 미국에서 오리지널에 뒤지지 않음을 재차 입증했다.
미국에서의 실적이 비교적 낮은 삼성바이오에피스로서는 실력을 증명한 셈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경우 바이오시밀러 해외 매출에서 유럽이 3분의2, 미국이 3분의1을 차지한다.
![]() |
[사진=삼성바이오에피스] |
미국 시장은 바이오시밀러에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따라서 글로벌 진출은 유럽에서 매출을 올리고 미국으로 넘어가는 수순을 밟는다. 미국이 전세계에서 가장 큰 의약품 시장인 만큼, 오리지널을 개발한 제약사들은 장벽을 높여 바이오시밀러가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다국적 제약사가 선제적으로 다량 특허를 축적하는 '특허 벽(patent walls)'이 대표적이다.
![]() |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럽뿐 아니라 미국까지 활동범위를 넓히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번 SB12 효능 발표도 그 일환이다. 또한 파트너사인 바이오젠과 오가논을 통해 미국에서 루센티스·레미케이드·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판매한다.
지난 8월 발효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미국 진출에 긍정적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고자 에너지 대응, 처방의약품 가격 개혁, 의료보험 보조금 연장 등 내용을 담은 IRA에 서명한 바 있다. IRA에는 바이오시밀러 처방 이후 환급받는 인센티브를 5년 간 기존 오리지널 평균 약값 6%에서 8%로 인상하는 항목도 있다. 의약품 지출을 줄이고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바이오시밀러에게 혜택을 주는 만큼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수혜를 입을 수 있다.
![]() |
[사진=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해외 시장 전체에서 올해 3분기까지 누적 9억 243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다. 파트너사를 통한 제품 매출이다. 전년동기대비 0.8% 상승한 수치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SB15는 내년 상반기 중 판매허가 신청이 예상되며 SB16과 SB17은 연내 임상 3상을 종료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대외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도 회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 판매량 확대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hell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