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1,2단 로켓 함경도쪽 해상 낙탄"
3단계에 대해서는 이례적인 함구
소실됐거나 '더미탄' 넣었을 가능성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13일 이뤄진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시험 발사와 관련해 3단계 분리를 언급하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14일 김정은이 하루 전 화성-18 시험발사를 참관한 소식을 전하면서 "대만족을 표시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13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시험발사했다고 관영 매체들이 14일 보도했다. 사진은 노동신문이 공개한 단 분리 모습. [사진=노동신문] 2023.04.14 |
중앙통신에 따르면 화성-18형은 1단계 로켓은 표준 탄도 비행방식으로, 2단계와 3단계는 고각방식으로 설정해 발사됐으며 1단계는 함남 금야군 호도반도 앞 10km 해상에 떨어졌다.
또 2단계 로켓은 "함북 어랑군 동쪽 355km 해상에 안전하게 낙탄됐다"는 게 북한 측 설명이다.
그렇지만 북한은 이 발표에서 3단계 추진체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한 영상에는 각 단계별 분리 모습이 나오고 '3단계 분리'라는 사진 설명도 있지만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앟은 것이다.
북한은 ICBM급 탄도미사일의 시험발사 때는 최대고도와 낙탄지점, 비행시간 등을 구체적으로 공개하면서 자신들이 보유한 미사일 체계의 기술력 등을 과시해 왔다.
그러나 이번의 경우에는 1, 2단계 낙탄 지점만 공개했을뿐 최대고도나 최종 낙탄 지역 등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주변 국가들의 안전과 영내 비행 중 다단계 분리의 안정성을 고려했다"고 주장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3단계를 탄두로 설정했을 수 있고, 화성-18형 첫 시험발사라는 점에서 본격적인 기폭장치 탑재 등이 아니라 더미탄(모형탄)을 썼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어제 이뤄진 시험발사의 초점은 고체연료를 사용한 발동기(엔진)의 시험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북한이 3단계 분리나 사거리 등에는 크게 무게를 두지 않았을 수 있다는 얘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12월 15일 평북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진행된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엔진 시험에서 엔진 동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023.04.14 |
일각에서는 1, 2단계 로켓의 분리는 성공했으나 3단계에서 실패하거나 소실됐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일본 정부는 13일 오전 7시 55분께 전국순시경보시스템(J-ALERT)을 통해 "오전 8시께 홋카이도 주변에 미사일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긴급 대피를 알렸으나 8시 16분께 "정보를 확인한 결과, 해당 미사일이 홋카이도나 그 주변에 낙하할 가능성이 사라졌기 때문에 정정한다"고 밝혔다.
이런 정황은 일본 자위대 등이 북한 미사일을 탐지해 경보를 울렸지만 예상 궤도에 다다르지 못했거나 최종 탄착지점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짐작케 한다.
앞서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는 13일 오전 "북한 탄도미사일은 정상보다 높은 각도로 발사돼 약 1천㎞ 비행 후 동해상에 떨어졌으며,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종합적으로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사일의 정점 고도는 3천㎞ 미만에서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북한이 지난달 16일 쏜 ICBM 화성-17형의 정점 고도 6천㎞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동엽 교수는 "북한에게 로켓 단 분리 기술은 그리 어려운 게 아니다"면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능력에 대한 과소평가를 경계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