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 빅3' R&D 투자 감소세...2년 전보다 '뚝'
"정제마진 수익성↓...설계 등 원천 기술 필요"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수요 부진과 공급과잉으로 시황 악화를 겪고 있는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변화를 절감하고 있지만 연구개발(R&D) 투자엔 인색한 모습이다.
◆ '석화 빅3' 매출액 대비 R&D 투자 규모, 대부분 1% 미만
1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기업 중 R&D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LG화학이다. LG화학의 R&D 투자 규모는 지난해 1조7799억원으로 전년대비 27.9% 증가했다.
LG화학의 R&D 투자금액은 2021년엔 1조3909억원, 2020년엔 1조1392억원으로 꾸준히 늘었다. 다만 대부분의 투자가 석유화학분야 보다는 이차 배터리 소재 등 다른 사업군에 치중돼 있다는 지적이다.
LG화학의 연구개발비는 증가했지만, 매출액에서 연구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지난해 3.4%로 전년대비 (3.3%) 0.1%p 올랐지만, 2020년 3.8%에서 0.4%p가 줄었다.
금호석유화학(이하 금호석화)과 롯데케미칼 등 화학 업계 '빅2'로 불리는 다른 기업들의 R&D 규모는 매출액 대비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데, 이마저도 줄고있다.
금호석화의 지난해 R&D 규모는 590억원으로 3년째 감소세다. 2021년엔 572억원, 490억원을 기록했다. 금호석화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0.74% 수준이다.이는 전년대비(0.68%)에서 0.06%p 오른 수치지만, 2020년엔 1.02% 였다.
금호석화의 주요 종속 회사인 금호피앤비화학은 신소재 연구와 수지 개발팀이 연구 담당조직에 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0.25%(2022년), ▲0.20%(2021년), ▲0.32%(2020년)를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의 지난해 연구개발비 규모는 1024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0.46%에 그쳤다. 롯데케미칼은 2015년 말 삼성그룹의 화학 계열사인 ▲삼성정밀화학 ▲삼성BP화학 ▲삼성SDI 케미칼 부문을 인수한데 이어 2020년 롯데첨단소재를 흡수합병하며 정밀화학 부분을 강화했지만 자체 연구 개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롯데케미칼(옛 삼성정밀화학)의 핵심 자회사로 떠오르는 롯데정밀화학의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147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0.6%다. 이 비율은 2020년 1%에서 2021년 0.7%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IR 자료에 따르면 롯데정밀화학은 지난해 9월 롯데케미칼의 연결 자회사에 편입됐다.
업계 관계자는 "재활용이나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소재는 많이 하고 있지만 시황과 경기가 좋지 않아 석유화학 투자는 사실상 많지 않다"며 "석유화학은 기술적으로 거의 완성된 사업으로, 기업 간 차이도 크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중국이 빠른 속도로 기술 격차를 따라잡으며 석유화학 제품 가격대를 크게 낮췄는데 연구개발 기간까지 추가되면 수익성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 글로벌 석유기업, 석유화학 투자↑..."원천 기술인 공정 설계 기술 필요해"
원유 펌프 잭. [사진=픽사베이] |
글로벌 석유기업들은 석유화학사업에 강도 높은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중동, 러시아 등 산유국 석유기업들이 석유 수출 중심에서 석유화학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아람코와 엑손모빌은 범용품부터 스페샬티 제품까지 전면적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는 기업 비전부터 글로벌 선도 에너지-화학 기업으로 설정하고, 세계 곳곳에서 단독 및 합작사(JV) 투자, 인수·합병(M&A) 등 모든 영역에서 공격적인 육성과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아람코는 중국 자동차 선두기업인 자지리(吉利 ·Geely) 자동차와 프랑스 르노와 합작사를 지난 3월 꾸리고 합성원료, 수소 분야 개발에 나섰다.
에쓰오일(S-OIL)의 대주주인 아람코는 국내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아람코는 국내 정유·석유화학 분야 사상 최대인 5조원 규모의 복합석유화학시설(RUC·ODC) 프로젝트를 지난 2018년 완료한 데 이어 2단계 사업으로 9조원 규모의 '샤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 양대 정유업체인 페트로차이나(중국석유), 시노펙(중국석화)은 지난해 각각 287억위안(약 5조4500억원), 225억위안(약 4조2800억원)을 R&D에 쏟아부으며 재생에너지와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연구를 늘렸다.
배영찬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는 "앞으로 200년 이상 영속할 석화사업의 원천 기술인 공정 설계 개발이 필요한 데, 한국 석유화학 업계는 이 설계를 수입 후 최적화하는 데 집중했다"며 "설계 없이 공장을 짓지 못하기에 이 기술이 석유화학의 '초격차 기술'이자 핵심 '두뇌'로, RE100에 맞춰 친환경 설계 공법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이다.
배 교슈는 이어 "높은 정제 기술을 가져도 정작 이익이 많이 남지 않기에, 장기적으로 미래를 보고 이를 투자로 여기는 '선진국형 연구개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대다수가 빨리 이익부터 내야 한다고 여긴다"며 "대학 내에서도 연구 관련 인력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