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과학적인 언어이자 아름다운 우리말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외래어와 외국어 그리고 신조어가 무차별 하게 남용되고 있습니다. 방송과 드라마, 영화, 인터넷과 SNS엔 신조어 등이 넘쳐 납니다. 이에 뉴스핌은 미디어에 쓰인 한글 오남용과 함께 쉬운 우리말을 써야 하는 이유를 풀어 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TV 속 예능, 드라마가 오프라인 유행의 트렌드를 주도하던 시대를 넘어, 이제는 유튜브, OTT 등 숏폼 콘텐츠의 시대다. 숏폼에서 흔하게 쓰이는 신조어들은 주로 SNS와 온라인상에서 시작된 것이 대부분. 이같은 어원이 불분명한 신조어, 은어들이 TV 방송 프로그램으로 역유입 되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 '개그콘서트' 등 TV예능→유튜브·쇼츠 '숏폼'이 유행어 유통 주도
지난 2010년대 초중반까지 주로 유행어의 흐름을 주도하던 TV 방송 프로그램의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최근 TV 시청률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유튜브와 OTT 등 숏폼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유행어, 신조어의 생성과 유통 주도권이 넘어갔다. KBS '개콘'이나 MBC '무한도전'에 나오는 유행어를 일상 생활에서 쓰는 건 이제는 10년도 더 된 옛 일이 됐다.
[사진=장민호 유튜브(위), 유튜브 콘텐츠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 |
자연스레 새로이 론칭하는 작품이나 제품, 서비스를 알리는 다양한 홍보 채널, 콘텐츠 유통 자체도 모바일로 방향을 트는 추세다. 최근 영화 시장 여름 성수기를 맞아 CJ ENM의 '더 문', NEW의 '밀수', 쇼박스의 '비공식작전', 롯데엔터테인먼트의 '콘크리트 유토피아' 등 대작들의 주연을 맡은 배우들은 저마다 유튜브 콘텐츠에 출연해 신작을 홍보했다.
여러 업계의 홍보 방식도 유튜브 콘텐츠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다. 패션, 뷰티, 유통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광고를 유튜브의 숏폼 예능 형식으로 진행하는 일이 이젠 흔한 일이 됐다. 장성규의 '워크맨', 홍현희의 '네고왕' 같은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홍보하느 콘텐츠는 물론, 조횟수가 높은 흥미 위주 콘텐츠에 다채로운 PPL을 통해 홍보상품을 끼워넣어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 과정에서 신조어와 은어, 새로운 유행어의 활용은 홍보효과의 화룡점정을 찍는다. TV 방송과 달리 심의가 없는 유튜브, 숏폼 콘텐츠에서는 PPL의 범위와 한계가 없이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고 자극적이면서도 직관적으로 의미가 전달되는 신조어가 속사포처럼 쏟아진다. SNS에서 젊은 세대들이 쓰는 신조어부터 줄임말, 억지로 홍보 목적으로 만드는 신조어도 허다하다.
◆ 숏폼 발(發) 신조어·유행어 익숙지 않은 TV세대…부적절한 어원·의미 주의해야
이 같은 숏폼 발(發) 신조어와 유행어들은 순발력있는 표현에서 오는 재미를 주며 빠르고 직관적인 소통을 원하는 모바일 세대에게 익숙한 용어들이다. 하지만 이 용어들이 그대로 TV로 역유입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어 TV 프로그램 제작자들과 자막 생성에 주의가 필요하다. 어원을 알 수 없는 신조어, 오로지 흥미 유발만을 위해 부적절한 의미 등을 내포한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사진=유튜브 '워크맨'] |
유튜브 콘텐츠 '워크맨'에서 사용된 'jjob세권'이라는 말은 경찰을 부정적으로 표현한 용어인 '짭새'와 '역세권'을 합쳐 만든 줄임말이다. 경찰서가 근처에 있어 경찰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는 의미는 전혀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지만 비속어와 결합한, TV 방송에서 사용하기 부적절한 신조어다.
[사진=유튜브 '네고왕'(위), JTBC '아는 형님'] |
'네고왕'에서 등장한 '딥빡'이라는 용어도 TV에서 다양한 세대의 시청자들이 보기엔 한 번에 의미를 알아듣기 어렵고 불편할 수 있는 용어다. 영어의 '깊은'이라는 뜻의 'DEEP'과 화가 난다는 뜻의 비속어 '빡침'을 함께 적은 줄임말이다. 숏폼 콘텐츠와 모바일, SNS 유행어 사용에 익숙한 청소년~MZ세대만 시청하는 것이 아닌, 불특정다수가가 보는 안방 시청자들의 특성상 '깊은 분노' 등의 용어로 순화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KBS 2TV '살림하는 남자들'] |
공영방송 KBS 2TV의 예능인 '살림남'에 등장한 '인싸'라는 용어도 누구나 알아듣긴 무리가 있는 신조어다. 무리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아웃사이더'의 반댓말을 '인사이더'라고 칭하는 것에서 유래해 줄임말 사용까지 더해져 정착된 온라인 용어다. 나이가 든 시니어 세대 시청자들은 '아싸'라는 말을 접하기도 전에 파생된 신조어 '인싸'같은 용어를 안방에서 영문 모르고 접하게 되는 상황이다.
[사진=SBS '런닝맨'] |
이같은 세대 간의 신조어, 줄임말 사용의 차이는 다양한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퀴즈로 소화하며 격차를 해소하려는 노력을 하기도 한다. SBS '런닝맨'에 나온 '자만추'의 경우 '자연스러운 만남 추구'라는 의미가 오래 전부터 쓰였으나, 최근엔 '자고 만남 추구'라는 의미가 젊은이들 사이에 추가됐다. 이 경우 세대간 문화적 차이를 소개하려는 의도가 있다 하더라도 철저한 방송심의와 사전의 제작진의 판단이 필요할 수 있는 사례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