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게임업계가 장기화된 불황으로 비용구조 효율화에 나섰다. 실적 부진이 이어지자 글로벌 겨냥 신작 출시로 반등 기회를 모색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확률형 아이템'으로 대표되는 페이투윈(이기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구조·P2W)게임은 글로벌 이용자들이 선호하지 않아 해외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픽=김아랑 기자] |
그동안 국내 게임사들은 투자하는 비용만큼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는 P2W 게임을 선보여왔다. P2W 요소는 확실한 수익 창출을 가능케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서구권에서는 거부감이 커 글로벌 공략에서는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글로벌 게이머들의 눈높이를 충족할만한 완성도 높은 지식재산권(IP)과 차별화된 게임성 및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19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P2W 모델은 최근 세계 각국의 규제에 부딪혀 난항을 겪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22일 확률형 아이템, 일일 충전, 출석체크 보상 등을 통한 과금 유도를 막는 고강도 온라인 게임 규제를 발표했다. 중국 국가신문출판서(NPPA)는 온라인 게임에 대한 지출 한도를 설정하고 게이머들이 게임 도중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지갑의 충전 한도를 게임 업체들이 지정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온라인 게임 관리 방안'(의견 초안)을 발표했다.
유럽에서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는 없지만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최근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발간한 '2023 글로벌 게임 정책·법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벨기에는 유료 확률형 아이템을 도박법으로 간주해 금지하고 있다. 영국과 네덜란드는 이용자가 확률형 아이템을 얻거나 개봉하기 전에 확률을 공개할 것을 권고했다.
글로벌 게이머들은 이용자 간 과도한 경쟁 유발을 통한 유료 아이템 판매보다는 몰입감 높은 경험을 통한 만족을 선호한다. 글로벌 게이머들은 게임을 하면 게임 안에 있는 콘텐츠를 온전히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마인드지만 한국 게임은 온전히 즐기려면 시간과 돈을 많이 써야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글로벌 게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게임 콘텐츠를 보강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기획 단계에서부터 참신한 게임 소재를 토대로 게임 세계관의 정교한 설계가 필요하고 그에 상응하는 게임 시나리오의 연출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김정태 동양대학교 게임학부 교수는 "게임 플레이어의 성향에 대한 고민이 깊어야 한다"며 "P2W는 성취가(도전과 경쟁에 몰두하는) 유형의 플레이어에게 인기 있는 게임 방식이다. 한국·중국·동남아시아 게이머들이 P2W 방식을 선호해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게이머들의 플레이 방식이 진화해 성숙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통하려면 '탐험가(게임월드 구석구석 탐험하면서 콘텐츠 향유 선호)' 유형의 게이머를 사로 잡을 게임 내 콘텐츠 보강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며 "게임사들은 매출에만 급해 소위 '돈이 되는' 게임 개발에만 연연하지 말고 중장기적으로 참신한 게임 소재, 탄탄한 세계관과 시나리오, 혁신적인 플레이어 경험디자인 등의 게임 제작에 승부를 걸어야 국내 게이머는 물론 글로벌 게이머들에게 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게임업계에서는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각 나라별·대륙별로 선호하는 게임의 형식이 다르기 때문에 현실적인 차이를 따라잡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온라인 게임 위주로 성장했지만 북미·유럽 시장은 성장해 온 과정이 달라서 어려움이 발생하는 상황"이라며 "한국의 경우 성장 과정의 기반이 된 비즈니스 모델(BM)들이 북미나 유럽에서는 거부감이 있다 보니 차이를 단시간 내에 따라 잡아 경쟁해야 하니깐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개발비에 대한 부담도 있다"며 "고퀄리티 게임에 대한 개발비는 수천억을 웃돈다"라고 덧붙였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