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현대제철 거친 재무통
코로나 위기 현대제철 흑자 전환에 기여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업계 불황과 글로벌 탄소중립의 두 가지 숙제를 짊어진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이 비용절감과 실적개선에 나선다.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사진=현대제철] |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 부동산 시장 침체로 건설업계가 타격을 받자 철강업계도 덩달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대제철의 지난해 3분기 개별 영업이익은 1809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55% 급감했다. 국내 철강 빅3 중 영업익 감소폭이 가장 컸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제철의 대표이사와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전면 교체하며 부진한 철강 업황 대비책을 마련했다.
서강현 사장은 지난해 11월 현대차그룹 인사를 통해 사장으로 승진하며 현대제철 대표이사직을 맡게 됐다. 서 사장은 현대자동차 회계관리실, 경영관리실을 거쳐 현대제철 재경본부장(CFO)을 지냈고 다시 현대자동차로 돌아와 부사장 직책인 기획재경본부장을 역임했다.
서 사장은 코로나19 시기 현대제철의 재무책임자로서 현금확보에 주력했다. 2019년 9504억원이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년 후인 2020년 2조771억원으로 증가했다. 체질 개선에도 집중했다. 원가 절감과 품질 향상 노력, 사업 구조 최적화 작업 등 수익성 확보를 기반으로 한 변화를 단행했다.
단조사업 전문 자회사인 '현대 IFC'를 설립하는 등 사업구조 최적화 작업을 시작으로 당진제철소 박판열연공장과 순천 컬러강판설비 생산시설 등 적자 사업부도 과감하게 정리했다. 2019년엔 창사 이래 처음으로 사무직 직원 대상 명예퇴직을 실시했다. 덕분에 현대제철은 엔데믹으로 전환한 2021년과 2022년에 역대급 호실적을 기록하며 탄탄한 재무구조 개선의 효과를 봤다.
코로나에 이은 위기 상황의 구원투수로 들어온 서 사장의 어깨가 무겁다. 단기적으로는 업황 개선이 어렵고 탄소배출 감축 등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도 줄이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서 사장은 이에 저탄소 원료 및 에너지원 확보와 해외 시장 공략거점 확보 등 신시장 발굴에 적극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서 사장은 지난 1월 초 신년사에서 수익 중심의 안정적 사업기반 확충, 탄소중립 로드맵 실행 강화,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올해 사업전략으로 꼽았다.
먼저 수익 중심의 사업기반을 첫 목표로 내놨다. 그 다음이 탄소중립과 미래 성장 동력이다. 새 사업을 확장해 포트폴리오를 전면 개편하기보다는 지출을 줄이고 수익성을 높여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고 본 셈이다.
서 사장은 탄소중립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자 철강산업의 기회라며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 실행방안에 대한 의지와 저탄소 원료, 에너지원 확보와 관련 기술 개발 역량 강화를 주문했다. 현대제철은 전기로 공법을 가속화하고 친환경 철강 원료인 직접환원철(HBI) 등을 활용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12%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동차를 꼽으며 친환경·경량화 자동차 소재, 에너지 산업용 소재 개발 및 생산·판매에도 힘을 실었다. 서 사장은 더불어 경제블록화, 공급망 체계 변화에 발 맞춰 새로운 사업거점 확보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급망 체계 변화는 모든 산업군에 있어 원료공급부터 제품생산, 수요시장, 그리고 물류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사업지형을 새롭게 그려가고 있다"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사업거점을 확보해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제철의 올해 첫 이슈는 임금협상이 될 예정이다. 핵심 쟁점은 70주년 성과급 지급 규모다. 노조가 요구한 1인당 3000만원 수준의 성과급을 사측이 거절하며 임금 협상이 해를 넘기게 됐다. 노조 이슈가 길어질수록 서강현 사장의 실적개선 과제에도 영향이 갈 가능성이 크기에 최대한 빨리 매듭짓는 것이 관건이다. 서 사장의 첫 리더십이 어떤 방향으로 작용할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