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간송미술관 재개관…"박길룡·고진승 작품 등 첫 전시"

기사입력 : 2024년04월29일 16:56

최종수정 : 2024년04월29일 17:11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간송미술관이 1년7개월만에 재개관, 관객들을 맞는다.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영우)과 간송미술관(관장 전인건)은 1934년 북단장(간송 미술관 일대)의 형성부터 1938년 보화각(간송미술관의 옛 이름)의 설립 등 간송미술관의 최초 설립 과정과 초기 간송 컬렉션을 공개하는 '보화각 1938: 간송미술관 재개관전'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간송미술관이 1년 7개월간의 복원·수리를 마치고 '보화각'으로 30일 다시 문을 연다. 2024.04.29 yym58@newspim.com

 

올해로 설립 86주년을 맞은 보화각(간송미술관)은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12월 30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 1년 7개월의 보수·복원 공사를 마치고 새롭게 단장한 모습으로 다시 문을 연다. 보화각은 한국 최초 사립미술관(1938년 개관)이다.

간송미술관의 재개관을 기념하기 위한 이번 전시에는 우리나라 1세대 근대 건축가 박길룡(朴吉龍, 1898~1943)이 설계한 북단장·보화각 도면이 최초로 공개된다. 아울러 미술관 설립자인 간송 전형필(全鎣弼, 1906~1962)이 각별한 관심을 기울인 보화각 관련 자료를 통해 1938년 보화각의 설립 과정을 새롭게 조명한다. 이와 함께 보화각 설립 이전까지 간송 전형필이 수집한 미공개 서화 유물들이 수리 복원 과정을 마친 뒤 처음으로 대중에게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답변하는 전인건 간송미술관장. 2024.04.29 yym58@newspim.com

전인건 간송미술관 관장은 "1938년 지어진 건물이라는 한계가 있다. 건물 자체가 등록문화재다. 이 안에서 전시장의 전체 면적을 늘리고 빛과 조명에 신경을 썼다. 박길룡과 고진승의 작품 등을 첫 전시한다, 리뉴얼을 통해 색을 정확히 보게 하고 자외선을 차단해 작품을 오래 보도록 했다"라고 밝혔다.

전 관장은 대구 간송미술관에 대해선 "10년정도의 우여곡절과 준비과정끝에 8월말이나 9월초께 개관한다. 법인화는 2013년부터다. 지역 거점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 대구 간송미술관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등 소장 국보, 보물 등 대다수가 나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북단장 개설과 보화각 설립'을 주제로 담고 있는 1층 전시실에는 박길룡 건축사무소에서 제작한 여러 도면을 진열하고, 각 도면에 설계된 건물을 3D 모델링 영상으로 구현한 키오스크를 설치했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영우)과 간송미술관이 29일 오후 1934년 북단장 개설부터 1938년 보화각의 설립에 이르기까지 한국미술의 역사와 함께해 온 간송미술관의 최초 설립과정과 초기 간송 컬렉션을 한눈에 볼수있는 '보화각(葆華閣) 1938: 간송미술관 재개관전'을 개최하기전 언론에 공개했다.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의 옛 이름으로 1년 7개월간의 복원·수리를 마치고 30일 다시 문을 열며 다음 달 1일 개막후 6월 16일까지 진행하는 재개관 기념 특별전에는 고진승의 나비 그림과 함께 한국 건축 1세대 박길룡(1898∼1943)이 설계한 보화각 도면 등이 최초로 공개된다. 2024.04.29 yym58@newspim.com

이 밖에 안종원(安鍾元, 1874~1951), 이한복(李漢福, 1897~1944) 등 간송 전형필과 교유하던 당대 유명 서화가들이 북단장 개설을 축하하기 위해 쓴 서예 작품을 비롯하여, 보화각 설립을 기념하기 위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1953)의 '보화각 정초석'과 '보화각' 현판 등이 진열되어 있다.

2층 전시실에서는 간송 전형필이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서화·골동 구입 내역을 직접 기록한 '일기대장' 등 다양한 자료의 조사·연구를 토대로 보화각 설립 시기까지 수집한 것으로 파악되는 미공개 서화 유물이 수리 복원을 거쳐 처음으로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2024.04.29 yym58@newspim.com

철종과 고종의 어진화가이자 인물화에서 탁월한 기량을 지녔던 도화서 화원 백은배(白殷培, 1820~1901)의 '백임당풍속화첩(白琳塘風俗畵帖)', 일본 화백 사쿠마 데츠엔(佐久間鐵園, 1850~1921)이 고종의 어명을 받아 제작한 '이백간폭도(李白看瀑圖)', 1930년 제9회 조선미술전람회(朝鮮美術展覽會)에서 입선작으로 당선된 노수현(盧壽鉉, 1899~1978)의 '추협고촌(秋峽孤村)' 등이 전시되며, 1888년 미국 워싱턴에서 서화로 교유한 대한제국 주미 공사관원 강진희(姜璡熙, 1851~1919)와 청국 공사관원 팽광예(彭光譽, 1844~?)의 작품 8점이 실린 '미사묵연 화초청운잡화합벽첩(美槎墨緣 華初菁雲襍畵合璧帖)'의 전면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특히 이 화첩에 실린 강진희의 '화차분별도(火車分別圖)'는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의 풍경을 그린 산수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는 5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진행되며 사전 예약을 통해 시민 누구나 무료 관람 가능하다. 

finevie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제2회 광복군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1940년 9월 17일 중국 중경 가릉호텔에서 성대한 행사가 열렸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창설식이었다. 미국 한인 동포들이 보내온 돈 4만원으로 조직한 군대였다.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20억 원 정도 된다. 총사령관 이청천 장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 제1지대장 이준식, 제2지대장 고운기, 제3지대장 김학규, 제5지대장에 나월환을 임명했다. 지대장은 지금의 사단장에 해당한다. 모두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를 비롯하여 남북 만주에서 전개된 항일무장투쟁에 직접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군 출신이었다. 한국광복군 훈련반 제1기 졸업사진. [사진= 독립기념관]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포고문을 통해 "국내외 동포들에게 알립니다. 1940년 9월 17일부로 대한민국 광복군을 창설하였습니다. 광복군은 1907년 8월 1일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한 날이 바로 광복군 창설일임을 선언합니다. 광복군은 구 한국군의 후신으로 33년간에 걸친 의병과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을 계승한 전통 무장 조직입니다"라고 했다. 대한제국 국군-의병-독립군의 군맥(軍脈)과 군혼(軍魂)을 분명하게 잇고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 부대 편성은 소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6단으로 편성하였다. 총 3개 사단을 조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원이 적은 상황에서 우선 지대를 만들고, 각 지대를 구대와 분대로 연계한 전투부대를 구성했다. 임시정부에서 1940년 9월 19일 중국 국민당 정부에 통보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직원 명단'에 의하면, 부대 규모가 총사령부와 4개 단위부대, 여기에다 조선혁명군 부대까지 포함하여 5000여 명이었다. 임시정부에서는 1941년 12월 연합국의 일원으로 일본에 선전포고했다. 1942년에는 미국 측에 "미국이 제주도를 해방 시켜 주면, 중경에 있는 임시정부를 제주도로 옮긴 후, 광복군이 미군과 함께 한반도 상륙작전을 전개하겠다."라고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실제로 미국 OSS 부대(지금의 CIA)와 1945년 4월부터 8월까지 강도 높은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다. 주요 훈련은 3개월 기간에 고공낙하, 암살법(권총에 특수장치를 하여 소리 없이 암살하는 방법), 통신(암호의 작성 및 해독법, 무전기 조작 및 수리), 교란 행동, 정보수집, 폭파 등 이었다. 일과는 07:00∼12:00 오전 훈련, 13:00∼18:00 오후 훈련, 19:00∼22:00 야간 훈련이었다. 주요 임무는 대한민국으로 낙하산과 잠수함으로 침투하여 미 공군 공습에 필요한 지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일본군 군사시설 탐지 및 파괴 지하 유격대를 조직하여 연합군 상륙작전 시 제2선에서 연결하는 작전이었다. 마침내 1945년 8월 7일 모든 훈련을 마치고 국내진공작전 출정식을 개최했다. 개시일은 8월 10일이었다. 출정식 때 장준하 경기도 공작 반장은 "나는 조국광복을 위해 죽음을 선택했습니다. 내가 나의 죽음을 지불하면, 내 능력껏 그 대가가 조국을 위해서 결제될 것입니다. 나의 각오는 한 장의 정수표입니다. 발생인은 장준하, 결제인은 조국입니다"라는 유서까지 작성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09-08 08:00
사진
'포스트 이시바' 누구?...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화하면서, 일본 정국의 관심은 차기 자민당 총재 선거로 쏠리고 있다. 집권당 총재가 곧 총리직을 맡는 일본 정치 구조상 이번 총재 선거는 사실상 다음 총리를 뽑는 절차다. 자민당은 조만간 새로운 총재 선거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지난 2024년 9월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총리와 경합했던 주요 인사들이 다시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정국 운영이 소수 여당이라는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차기 총재가 야당과 어떻게 연대할지, 어떤 연립 구도를 짤지가 최대 쟁점으로 꼽힌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고 있는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권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고이즈미 농림수산상과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이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지난달 29~3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총리에 적합한 인물로 다카이치가 23%, 고이즈미가 22%를 기록했다. 나란히 1, 2위다. 자민당 지지층으로 한정하면 고이즈미가 32%로, 다카이치(17%)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카이치는 2024년 총재 선거에서 1차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에게 역전패했다. 고이즈미 역시 의원 표에서 선두에 올랐지만 당원 표에서 밀리며 결선에 오르지 못했다. 두 사람 모두 당내 기반과 대중적 인지도를 겸비해 차기 선거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주자들이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1981년생(44세)으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차남이다. 2009년 중의원 첫 당선 이후 줄곧 '포스트 아베', '차세대 리더'로 주목받았다. 환경상, 농림수산상을 거쳤으며 개혁 성향과 젊은 이미지로 지지층을 넓혔다. 2024년 총선에서 당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으나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이후 농림수산상으로 복귀해 쌀 유통 개혁 등 농정 개혁에 매진했다. 대중적 인지도와 '고이즈미 브랜드'라는 정치 자산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은 1961년생(64세)으로 보수 강경파로 분류되는 여성 정치인이다. 2021년 총재 선거에 첫 도전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전폭적 지원을 받으며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총재 선거 1차 투표에서 최다 득표(의원 72표, 당원 109표)를 얻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 총리에게 역전 당했다. 유일한 여성 후보로서 '보수의 아이콘'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아베 전 총리와 가까웠던 의원 그룹이 주된 지지 기반이다. 이시바 정권에서 당직 제안을 거절하며 독자 노선을 유지해 왔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는 다카이치 사나에 전 일본 경제안보담당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야시·모테기 등 잠룡도 주목 고이즈미와 다카이치 두 선두 주자 외에 잠룡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옛 기시다파 일부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시바 정권의 2인자로서 존재감을 키워왔다.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은 당내 경험과 풍부한 인맥을 강점으로 삼고, 아소 다로 전 부총리와 교류를 통해 지지 기반을 다지고 있다.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은 5선 의원으로, 동기 의원들과 옛 니카이파의 지원을 받으며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 총재 선거 이후에도 정국 '안갯속' 자민당 총재 선거는 국회의원 표와 당원·당우 표를 합산하는 방식이 원칙이지만, 긴급 시에는 국회의원과 지방 지부 대표만 투표하는 '양원 의원 총회'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의원 표의 비중이 커져 파벌 역학이 중요해진다. 차기 총재가 선출되더라도 곧바로 정권 안정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일본 헌법상 총리는 국회에서 지명되는데, 자민·공명 양당은 현재 중의원과 참의원 모두에서 과반을 잃은 상태다. 따라서 야당이 단일 후보를 세워 결집할 경우, 자민당 총재가 총리로 지명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민당 총재가 총리에 오르더라도, 예산안·세제 개혁 법안 등 국정 운영은 야당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차기 총재는 곧바로 '연립 확대'나 '정책 연대'를 추진할 수밖에 없고, 총재 선거 과정에서도 어떤 야당과 손을 잡을지가 핵심 화두가 된다. 결국 이번 자민당 총재 선거는 단순히 차기 지도자를 뽑는 절차를 넘어, 일본 정치가 다당제 속에서 어떤 연립 구도를 구축할지 시험대가 되는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goldendog@newspim.com 2025-09-08 09: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