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한 자기 계발 문화의 근원을 진단하고 대안 제시
'갓생'을 전시하는 소셜미디어, 자기 개발 의미 달라져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알파고가 이세돌 제압하고, 챗GPT나가 진화를 거듭하고. 로봇이 점점 인간을 닮아갈 때 우리는 심각한 의문에 부딪힌다. 내가 지금 열심히 익히고 배우는 것이 언제까지 쓸모가 있을까?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성과주체를 비판한 지 10여 년이 흘렀지만 자기 계발 열풍은 여전히 거세다. 급속한 기술 발달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예측되지만 사람들은 자기 계발의 쳇바퀴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알고리즘에 갇힌 자기계발' 표지. [사진 = 민음사 제공] 2024.05.13 oks34@newspim.com |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나보다 나를 더 잘 알고 지식과 기술을 제공한다면 과연 모든 공부와 자기 계발은 무슨 소용이 있을까? 인공지능과 로봇 등 최신 기술과 관련된 담론을 이끌며 세계적 명성을 쌓고 있는 벨기에 출신의 세계적인 기술철학자 마크 코켈버그가 본격적으로 도래한 AI 시대에 자기 계발의 의미를 묻는다.
'알고리즘에 갇힌 자기 계발'은 기술 발달로 무한히 확장하는 자기 계발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강박적인 자기 계발 문화를 탈피하는 새로운 시각을 모색한다. 자신을 더 이해하고 성장하고 싶은 모든 독자를 위한 '메타 자기계발서'라 하겠다. 이 책은 유해한 자기 계발 문화를 형성한 근원을 진단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부터 기독교 전통, 근대 인문주의, 실존주의까지 자기 관리와 자기 수양 문화의 뿌리가 되는 사상들을 탐구한다. 또 그 영향으로 자아에 대한 집착이 만연해진 사회를 파헤친다.
현대 자본주의 경제와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심화된 자기 착취의 양상을 분석하여 감시 자본주의와 건강(wellness) 산업, 데이터 경제하에서 자기 계발이 상품과 서비스를 넘어 개인 정보와 데이터까지 상업화하는 데 활용되는 현실을 드러낸다. AI, 빅데이터, 머신러닝, 소셜 미디어 등 강력한 기술 도구들은 자기 계발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디지털 기기는 건강, 외모, 커리어, 인간관계, 나아가 인성과 노력까지도 수치화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사람들은 자기 계발 과정과 성패를 중계하고 고백하고 또 비교한다.
주목할 점은 기술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는 인간에 대한 지식이 생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심장 박동 수를 체크해 주는 기기와 함께 달리는 것은 기존의 달리기와 다른 것일까? 이처럼 기술은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과 관계 맺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방식을 제공한다. 고대 철학자들이 추구한 자기 계발은 이상적인(완전한) 인간상에 도달하기 위한 자기 수양이었으나 최근의 기술 발달은 우리가 완성하려는 인간의 모습 그 자체를 바꾸고 있다.
그렇다면 자기 계발은 영원히 성취할 수 없는 몸부림이 되었는가? 디지털 디톡스, 디지털 러다이트는 기술이 이미 깊숙이 침투한 현대인의 노동과 삶의 방식을 고려할 때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선택지가 아니다. 코켈버그는 기술을 배척하지 않고 자기 계발을 포기하지 않기 위해 자아와 사회에 대한 이해가 변해야 하며, 여기에 기술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술은 인간의 자기 계발을 더욱 고양시킬까, 아니면 자기 계발의 여지를 없애 버릴까? 즉 '자기 계발의 끝은 어디일까?' 이 물음은 결국 인간과 인간됨에 대한 탐구로 연결된다. 연아람 옮김. 민음사. 값 15000원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