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평균 대비 재산 피해 35% 감소
정부 선제적 대응 및 ICT 기술 활용 성과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올여름 풍수해로 인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는 최근 5년 평균 대비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올해 여름철 풍수해 대책 기간(5월 15일~10월 15일)동안 인명 피해는 6명(사망 5명·실종 1명), 재산 피해는 3893억 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지난 7월 호우 피해를 입은 전북 익산시 성당면 산북천 재해복구사업장을 찾아 안전관리 대책 등을 점검하고 있다=행안부 제공kboyu@newspim.com |
올여름은 전북 군산(146㎜/h), 경기 파주(101㎜/h) 등 전국에서 시간당 100㎜ 이상 매우 강한 비가 16차례 관측됐다.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관측 빈도다.
여름철(6~8월) 강수량 대부분은 장마 기간에 집중됐으며 9월에는 평년 대비 155%의 강수량이 관측되는 등 기록적인 기상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했다.올해 인명 피해는 산사태(2명), 지하 엘리베이터 침수(1명), 노후 저수지 붕괴(1명) 등이며 재산 피해는 3893억 원으로 5년 평균치인 5955억 원에 비해 35% 감소했다. 하천과 도로·교량 등 공공시설 피해는 2356억 원, 주택 파손 및 농·산림작물 침수 등 사유 시설 피해가 1537억 원이었다.
앞서 정부는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홍수 특보 지점과 긴급재난문자 수신 지역을 확대하고 지자체·경찰과 취약 지역 및 취약 계층을 발굴해 철저한 대응에 나섰다.
또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홍수 특보 지점을 75개소에서 223개소로 늘리고, 긴급재난문자 수신 지역을 기존 수도권에 더해 전남·경북권까지 확대하는 등 관련 제도를 개선했다.
특히 디지털산사태정보시스템과 재난안전통신망 등 정보통신(ICT) 기술을 활용한 통합 관리와 이·통장 재난안전 교육을 추진한 결과, 최근 여름철 인명 피해가 집중됐던 산사태, 하천 재해, 지하 공간 침수 등 3대 유형에서 피해가 감소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다가오는 겨울철에도 대설·한파 등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