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89만 목표 달성 위한 구체적 토지이용계획
1도심 3부도심 구조...GTX 교통 인프라 혁신
노후신도시·원도심 재생활성화 방안 제시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부천시가 신청한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안)'을 4일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 [사진=경기도] |
도에 따르면 이번 기본계획은 부천시의 미래와 장기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주요 공간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2040년 부천시의 목표 인구는 약 89만 명으로 설정됐으며, 이는 통계청의 인구추계치와 3기 신도시, 역세권 개발 등의 인구 유입을 반영한 결과다.
부천시는 전체 53.45㎢ 행정구역 중 개발 가용지 0.498㎢를 시가화예정용지로 지정하고, 시가화된 기존 개발지 35.119㎢는 시가화용지로 포함했다. 나머지 17.833㎢는 보전용지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토지이용계획을 마련했다.
부천시의 공간구조는 신규 개발사업과 GTX·지하철 신규노선에 따른 변화 등을 고려해 1도심, 3부도심, 3지역중심으로 재편성했다.
생활권은 대장·춘의, 중·상동, 부천·소사 등 3개 권역으로 나뉘며, 각각의 지역에서는 노후 공업지역 정비, 역세권 활성화 및 문화·행정·업무 기능 강화를 위한 전략이 제시됐다.
교통계획에서는 단절이나 병목이 없는 최적의 도로망 구축, 광역급행철도(GTX-B·D) 등 철도망 계획, 대중교통 간 연계를 위한 스마트 환승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이 포함돼 있다.
박현석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의 승인을 통해 부천시는 다양한 개발사업과 노후신도시 정비, 원도심 재생활성화 등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도시로 성장하면서 부천시민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2월 중 부천시 누리집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