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개 시군 대상 공모해 3곳 선정
3년간 총사업비 21억원 투입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가 다음 달 17일부터 21일까지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사업 대상지를 공모한다.
농식품부는 농촌지역 빈집밀집구역 내 빈집을 활용해 생활인구를 확대하기 위한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농촌지역 139개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해 3곳을 선정하고 3년간 총사업비 21억원을 투입한다.
경북 문경에 위치한 카페 '화수헌' [사진=농림축산식품부] 2025.02.06 plum@newspim.com |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군은 역량 있는 민간과 협업하여 기획 단계부터 공동으로 사업을 구상하는 등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지역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신청을 희망하는 시군은 사업신청서 등을 작성해 다음 달 21일까지 농식품부 농촌재생지원팀에 제출하면 농식품부는 전문가 평가 등을 거쳐 내달 중 사업 대상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농촌 빈집을 새로운 자원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농촌소멸을 극복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일례로 일본의 고스게촌은 민관이 협업해 150년된 전통가옥과 절벽 위의 집 등을 마을 호텔로 조성한 결과 누적 관광객 18만명을 유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국내에서는 경북 문경시가 지역 특산물, 역사, 문화 등 로컬 콘텐츠를 활용해 유휴공간을 융복합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경북 문경에 위치한 양조장 '산양정행소' [사진=농림축산식품부] 2025.02.06 plum@newspim.com |
특히 200년된 고택 '회수헌'을 카페로 개조하고 양조장은 '산양정행소', 적산가옥은 '볕 드는 산'으로 리모델링하는 등 빈집을 다양하게 활용했다. 이 영향으로 문경 지역 연간 방문객 수는 12만명을 달성했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빈집 활용 사례를 확산하기 위해 빈집우선정비구역 내 빈집을 주거·워케이션, 문화·체험, 창업공간 등 생활인구를 위한 공간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사업이 지역의 가치를 되살리고, 더 많은 이들이 머물고 싶은 농촌을 만드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시군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한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