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벤쳐스, 생산성 증가·매출 상승 비결
노동시간 단축, 인재 유치·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
노동의 질 중시하는 시대적 변화 반영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브레인벤쳐스'라는 성남시 판교창업존 입주기업을 방문했다. 브레인벤쳐스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브레인벤쳐스'라는 성남시 판교창업존 입주기업을 방문했다. 브레인벤쳐스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다. [사진=경기도] |
눈에 띄게 다가오는 점은 이 회사의 근무시간이다. 브레인벤쳐스는 직원들에게 하루 6시간씩 근무를 요구한다. 이는 주52시간 근무제와 비교했을 때 약 절반 수준의 '주30시간 노동제'를 시행하는 것이다.
이 제도 덕분에 직원들은 오전 9시에서 10시 사이에 출근하고 오후 4시 가량 퇴근한다. 회사 측은 주30시간 근무임에도 불구하고 직원 연봉은 업계 평균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브레인벤쳐스는 2020년 설립 이래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며, 2024년에는 2023년 대비 2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화요일과 금요일에는 재택근무를 실시한다.
김동연 지사는 기업 관계자 6명과 함께 간담회를 열면서 노동시간 단축이 기업과 직원에 미친 효과를 경청했다. 김원회 대표는 "기업 초기부터 현재의 정책을 시행했으며, 긍정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 늦게까지 남아 있는 것은 신뢰의 지표가 아니다"라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집중적으로 근무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간담회에서 직원들은 "현재 제도로 인해 출퇴근 피로가 줄었고 인재 유치에도 효과적이다", "제도 만족도가 높아 퇴직률이 낮다"고 응답했다. 직원들은 "근무시간이 줄어도 생산성이 상승하고 있으며 이를 매출에서 입증할 수 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 직원은 "이 제도 덕분에 결혼도 하게 되었고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브레인벤쳐스'라는 성남시 판교창업존 입주기업을 방문했다. 브레인벤쳐스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다. [사진=경기도] |
김동연 지사는 "과거에는 노동집약적으로 근로시간을 늘려 생산성을 높이던 시대가 있었으나 이젠 시대가 다르다"라고 말하며, "생산요소에서 노동의 양보다 질이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는 주4.5일제와 유연근무제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며 "이는 기업의 생산성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연 지사가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주4.5일제' 도입을 지난해 8월에 핵심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주4.5일제는 ①격주 주4일제 ②주35시간제 ③매주 금요일 반일 근무 중 하나를 노사 합의로 선택할 수 있는 제도이다. 근무시간 단축에 필요한 임금은 공공이 지원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경력단절 없는 '0.5&0.75잡' 프로젝트와 함께 주4.5일제를 도의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주4.5일제와 '0.5&0.75잡' 프로젝트는 김 지사의 4개 분야 중 기회경제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브레인벤쳐스'라는 성남시 판교창업존 입주기업을 방문했다. 브레인벤쳐스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다. [사진=경기도] |
경기도는 올해부터 도내 5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4.5일제 시범사업을 도입할 계획이며, 임금 축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노동자 1인당 생활임금 수준의 장려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기업이 노동생산성을 유지하며 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컨설팅도 지원할 예정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