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해 제조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탄소 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 |
[사진=중소기업중앙회] |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92.8%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준에 대해 '기한 내 달성이 불가능하다'(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 50.2% +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다 42.6%)라고 응답했다.
특히 '온실가스 의무 감축 대상 기업'임에도 '기한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6.0%'(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 46.5% +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다 39.5%)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탄소중립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는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51.2%) ▲자금·인력 부족(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23.2%) 순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84.8%가 '부담(매우 부담(22.2%)+대체로 부담(62.6%))'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탄소중립 이행에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노후 시설 교체 비용 지원(50.4%) ▲에너지 효율 향상 기기 도입 지원(26.2%) ▲중소기업 차등 전기 요금제 마련(22.6%) 등을 꼽았다.
다만 '온실가스 의무 감축 대상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 차등 전기 요금제 마련(28.0%) ▲배출권 무상 할당 비율 동결(24.0%)을 가장 필요로 했다.
'온실가스 의무 감축 비대상 기업'의 경우 ▲노후 시설 교체 비용 지원(68.7%) ▲에너지 효율 향상 기기 도입지원(30.7%)을 가장 필요한 정책이라 응답해 온실 가스 의무 감축 대상 기업 여부에 따라 필요한 지원 정책에 큰 차이를 보였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중소기업이 노후화된 시설을 교체하거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비를 도입하는데 있어 정부의 보조율 상향 등 직접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탄소 중립 대응 수준이 상이한 만큼, 업종별 협동 조합 등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며 개별 중소기업 차원에서의 대응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도 대·중기 상생을 통한 공급망 전반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