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양자 컴퓨팅을 둘러싼 경쟁이 가속하는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체 개발한 양자 컴퓨팅 칩을 공개했다.
19일(현지시간) MS는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위상초전도체'를 사용한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Majorana) 1'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이라는 물리학 이론을 응용한 초고속 컴퓨터다.
![]() |
MS가 공개한 양자컴퓨팅 칩 '마요라나 1'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일반적인 컴퓨터가 전류의 온·오프(켜짐과 꺼짐)로 '0'과 '1'을 표현하는 반면, 양자컴퓨터는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활용해 0이면서 1이기도 한 상태를 만들어 계산을 수행한다.
이에 양자 컴퓨터는 일반 컴퓨터로는 불가능한 막대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미래 혁신 기술 중 하나로 꼽혀왔다.
다만 온도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양자 상태가 깨져 쉽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으로 상용화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었다.
하지만 MS가 이번에 개발한 '마요라나 1'은 손바닥만 한 크기로 초전도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양자 컴퓨팅 칩과 달리 '위상적(topological) 큐비트'로 개발됐다.
해당 큐비트는 모양이 변해도 본질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차세대 초전도 큐비트로 꼽혀 왔다.
MS는 위상 초전도체가 인듐 비소와 알루미늄 등으로 구현됐으며, 이를 통해 양자 정보의 손상을 막고 오류 파악과 수정도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마요라나 1'에는 큐비트 8개가 탑재됐으며, 단일 프로세서에서 100만 개 이상 탑재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난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양자컴퓨터 상용화까지 2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날 MS는 "큐비트 100만개 이상 탑재는 '양자컴 상용화' 시작 시기로 본다"며 "이번 칩 개발로 양자컴퓨터 시대가 몇 년 안에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