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안 인용 시 60일 이내 대선
김동연·김경수, 대선 캠프 구축 박차
李와 '연쇄 회동'...통합·차별화 강조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조기대선이 가시화하고 있다. 이에 야권 대선 잠룡들은 발언 수위를 높이고 행보에 보폭을 넓히며 분주한 모습이다.
22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대선캠프 가동을 위해 내부적으로 사람들을 모으고 있다. 탄핵소추안 인용 시 60일 이내 대선이 치러져야 해 곧바로 대선모드로 돌입해야 한다.
![]() |
순서대로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사진=뉴스핌DB] 2025.02.21 ycy1486@newspim.com |
김동연 경기지사는 지난 13일 광주를 찾아 '노무현의 길'을 걸으면서 "확장성 있고, 국민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리더가 필요하다"며 대선 출마를 시사했다. 김 지사는 "제2의 노무현 기적 만들어보자"며 자신이 적임자임을 거듭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난 18일에는 경제·외교 행보의 일환으로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 대리와 만나기도 했다. 면담에서 한미동맹을 재확인하고, 경기도와 미국 간 협력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오는 28일 이재명 대표와 회동이 예정돼 있다. 김 지사는 이 대표와 '차별화'를 위해 전국민 25만원 지급 반대나 개헌을 주장하는 등 각을 세우고 있다. 둘의 회동에서도 이같은 내용으로 의견 대립이 오갈지 주목된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이 대표와 지난 13일 가장 먼저 회동했다. 김 전 지사는 이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계엄을 막는 개헌을 해야 한다"며 원포인트 2단계 개헌을 주장했다. 이 대표는 현재 개헌에 다소 소극적인 입장이어서, 둘의 의견 대립이 드러났다.
김 전 지사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 관련 토론회에 참석해 "행정수도 이전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꿈"이라며 "대통령실의 경우 빠르게 세종으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도 했다.
김 전 지사는 계속해서 개헌이나 정치개혁 과제 등 큰 의제들 중심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그는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회법을 개정해 원내 교섭단체 요건을 10석으로 완화시키는 방안도 함께 논의되기를 바란다"며 "현재 교섭단체 (구성요건) 20석은 유신의 잔재"라고 지적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 7일 광주를 찾아 "정권 재창출을 해야 한다"고 말한 데 이어 지난 14일에는 대구를 방문해 이재명 대표를 향해 "개헌 약속을 해야 한다"고 직격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18일 비명(비이재명)계 인사 모임인 '희망과 대안' 창립식에 참석해 "절대적 권력 분산하는 개헌 로드맵 필요하다"고 했다. 개헌에 부정적인 이 대표를 겨냥한 차별화 된 발언이다.
김 전 총리는 오는 24일 이 대표와 회동할 예정이다. 이 대표와 만나며 '통합'의 메시지를 내면서도, 그동안 입장을 고수해온 개헌 등에 대해서는 각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외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두는 김두관·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도 개헌을 통해 제7공화국을 열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재수 의원과 김영록 전남지사, 이광재 전 사무총장도 대선 출마를 시사하고 있다.
ycy148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