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4년 한 해 동안 전국 24개 '문화도시'에서는 문화 공간 5239곳을 활성화했으며, 지역주민과 방문객 총 423만 명이 문화를 향유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이러한 성과를 평가해 '올해의 문화도시'로 경상남도 밀양시(시장 안병구)를 선정했다.
문체부는 국정과제인 '지역 중심 문화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역점 사업으로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9년 12월 1차 문화도시 지정을 시작으로 2022년 4차 문화도시까지 총 24개 도시를 지정했으며, 이번 성과평가는 1∼4차 문화도시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문체부는 2024년에 문화도시 24곳에 각각 국비 15억 원을 지원해 지역문화 여건 개선, 지역 고유문화 기반 문화콘텐츠 발굴 및 지원, 창의적인 문화인력 양성 등을 뒷받침해왔다. 한편 지난해 12월에는 '광역 선도형 모델'인 '대한민국 문화도시' 13곳을 추가로 지정했다.
![]() |
올해의 문화도시 밀양시 발표자료. |
◆'올해의 문화도시'는 햇살문화도시 '밀양' 선정, 지속 가능한 문화도시 구축에 힘써
'올해의 문화도시'로 선정된 밀양시는 2021년 제3차 문화도시로 지정된 이후, '삶의 회복 새로운 미래, 햇살문화도시 밀양'을 비전으로 다양한 문화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폐교 이후 약 18년간 방치되었던 (구)밀양대학교 부지를 '햇살문화캠퍼스'로 재탄생시켜 지역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게 한 성과가 돋보였다.
그 밖에도 '밀양대 페스타' 개최, 도심 빈공간 문화재생, 예술인 아트마켓 운영, 햇살문화 브랜드 구축, 햇살문화 공동체 조성, 시민 리빙랩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문화를 활성화했다. 밀양대학교 개교 100주년을 맞이해 열린 제4회 밀양대 페스타(24. 10. 25.∼27.)에는 시민 약 3만 명이 방문했고, 지난해 11월에 문을 연 햇살문화캠퍼스 내 '복합문화공간 열두달'에는 2달간 14만 명이 방문하는 성과를 거뒀다. 밀양시는 사업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시 자체 예산을 추가로 투입하는 등 지속 가능한 문화도시를 구축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 문화 공간 5239곳 활성화, 총 423만 명 문화 향유
2024년 한 해 동안 24개 문화도시는 문화 공간 5239곳(23년 3658곳)을 활성화하고, 지역주민과 방문객 등 423만 명(23년 253만 명)이 문화를 향유하는 성과를 냈다. 수원시는 '같이공간' 5개소, '동행공간' 81개소 등 문화공간 128개소를 조성하고, 의정부시는 '의정부문화역 이음'을 비롯한 30개의 '사이공간'을 활용해 821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포항시는 지리적 특성을 살려 해양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문화공간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전년 대비 6.3% 증가한 32만 명이 공간을 찾았다.
청주시에서는 기록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직지문화 축제 등 지역축제를 연계해 시민 총 46만 명이 문화를 향유했다. 부평구는 음악도시 부평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뮤직 플로우 페스티벌' 행사 등을 열어 35만 명이 찾아 즐겼다. 1차 문화도시 중 한 곳인 부산 영도구는 국비 지원 마지막 해를 맞아 영도다리축제, 보물섬 영도 등을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해양 콘텐츠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에 이바지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성을 도모했다.
![]() |
올해의 문화도시 밀양시 발표자료. |
아울러 24개 문화도시는 각자의 고유한 문화로 특색있는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올해의 문화도시'에 선정된 밀양시는 (구)밀양대 부지를 활용한 '햇살문화캠퍼스' 등 대표 사업을 통해 97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하고 '햇살'을 주제로 한 지역 이미지를 널리 알렸다. 또한 '독립군 아리랑', '영등할매 아리랑' 등 독자적 콘텐츠를 개발해 '아리랑'으로 대표되는 도시 이미지를 한 번 더 공고히 했다.
춘천시는 누리소통망에서 화제가 되었던 '춘베리아 특급열차' 등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상품을 필두로 수도권 접근성이 우수한 관광도시임을 강조하면서 약 32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두었다. 영월군은 다양한 체류형·체험형 콘텐츠를 앞세워 석탄·광산도시 이미지에서 탈피해 '문화광산'으로 새로운 브랜드를 구축해 가고 있다. 천안시는 문화기업의 생애주기별 지원을 통해 최근 4년간 지역 소재 문화기업의 연매출 지속 증가라는 결과를 냈고, 문화기업을 창업하고 성장시키기에 적합한 도시라는 이미지를 쌓아가고 있다. 이처럼 문화도시는 지역의 이미지를 담은 행사, 공연, 콘텐츠, 지원체계를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문화도시 지속 지원, 인근 권역 문화 여건 개선하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 본격 추진
올해 문체부는 문화도시에 대한 지원을 지속함과 동시에 지난해 12월에 지정한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지역을 넘어 인근 권역의 문화 여건을 총체적으로 개선하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에는 올해부터 3년간 지역별로 2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광역 연계형 사업인 만큼 기존 문화도시를 포함한 다른 지역과의 활발한 교류가 기대된다.
유인촌 장관은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로 지역의 발전을 이끄는 '문화도시' 사업은 문체부의 역점 사업"이라며 "'문화도시'로 선정된 각 지역이 각자의 특색을 살려, 가고 싶고, 머물고 싶고, 살고 싶은 지역이 될 수 있도록 책임지고 끝까지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