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관 6대2 의견으로 각하 결론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 정족수를 놓고 국민의힘 의원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상대로 낸 권한쟁의 심판에 대해 재판관 6대 2 의견으로 각하 결론을 냈다. 헌재는 탄핵소추안에 대한 심의·표결권의 침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헌법재판관들이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4월 심판사건 선고에 참석하고 있다. 2025.04.10 choipix16@newspim.com |
10일 헌법재판소는 오후 2시 국민의힘 의원과 우 의장 간 권한쟁의 사건에 대한 선고를 냈다. 이 사건은 지난해 1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 총리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시작됐다.
당시 한 총리는 권한대행 신분이었으나 탄핵 과정에서 총리 탄핵정족수 기준인 국회의원 과반수가 적용돼 투표 결과 총 192인 찬성으로 가결됐다. 헌법 제65조는 국무총리 등에 대한 탄핵소추안 의결 정족수는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으로 정하고 있지만, 대통령의 경우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고 규정해 탄핵 기준이 더 엄격하다.
이에 국민의힘 측은 당시 한 총리가 권한대행 신분이었기 때문에 탄핵 가결 정족수는 총리가 아닌 대통령 기준이어야 한다고 반발했다. 이어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지위를 겸하고 있음에도 우 의장이 탄핵소추안에 대해 대통령에 준하는 가중 탄핵정족수를 적용하지 않은 것을 중대한 위헌적 해석이라며 헌재에 권한쟁의 청구를 했다.
당시 국민의힘 측은 한 총리가 당시 권한대행 신분이었기 때문에 탄핵 가결 정족수는 총리가 아닌 대통령 기준이어야 한다고 반발했고,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지위를 겸하고 있음에도 우 의장이 탄핵소추안에 대해 대통령에 준하는 가중 탄핵정족수를 적용하지 않은 것은 중대한 위헌적 해석이라며 헌재에 권한쟁의 청구를 했다.
헌재는 "피청구인의 이 사건 가결선포해위 및 송달행위로 인해 청구인들이 주장하는 국민대표권이나 이 사건 탄핵소추안에 대한 심의·표결권의 침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