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화 변호사 "지브리 스튜디오 저작권 침해 가능성"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지브리풍 열풍에 작가 권리 외면과 윤리적 문제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우려된다.
최근 '지브리풍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은 저작권침해에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은 지브리풍 이미지 열풍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공유한 이미지.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는 장면의 지브리풍 이미지. [사진= X 캡처] 2025.04.11 moonddo00@newspim.com |
양영화 저작권 전문 변호사는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챗gpt가 지브리풍 이미지를 만들어준다는 것은 이미 지브리풍 이미지가 학습돼 있다는 것이다. 지브리사의 허락을 받지 않고 학습했다면 그것은 저작권 침해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예외적으로 공공의 목적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 행사를 제한하는 규정도 있다. 그런 제한 규정이 따로 없다면 지브리 스튜디오의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볼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반인들이 지브리풍 이미지를 만들어낸 결과물에 대해서는 "저작권 침해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은 저작권을 관통하는 법리가 있다. 아이디어와 표현의 이분법이다. 아이디어는 저작권으로 보호하지 않고 표현만 보호하겠다는 것이 아이디어와 표현의 이분법이다. 화풍, 스타일 등은 아이디어로 본다. 지브리풍의 결과물은 아이디어의 영역이기 때문에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자동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AI는 미드저니, 달리(DALL·E) 등이 있다. 달리는 이모티콘을 제작하거나 캐릭터를 제작할 때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AI 그림 제작 프로그램이다. 간단하게 단어를 입력하여 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달리는 시즌2가 출시되자마자 미술, 패션, 건축, 마케팅에 이르는 전 업계에 걸쳐 혁신성을 폭발시켰다.
소수의 전문가들 위주로 이용되던 AI 그림 프로그램이 챗GPT를 이용한 지브리풍으로 번졌다. 간단한 마우스 클릭 하나만으로 지브리풍의 그림을 얻을수 있어 반향이 뜨겁다.
지브리풍 AI이미지 열풍에 대해 김소전 미술 컨설턴트는 "비단 '지브리풍 이미지' 하나에 집중할 일은 아니다. 앞으로 더욱 차고 넘치게 이런 일을 겪게 될 것이다. 작곡가, 가수, 연주자는 물론 무용수와 연기자도 대체할 만한 AI의 놀라운 발전 속도에 익숙해질 수밖에 없다. 이 시대는 작가의 권리나 작품의 퀄리티 보다 사람들이 무엇에 열광하느냐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원하고 즐기면 그것이 대세가 된다. 지브리가 바로 그 열광의 대상으로 성공한 것뿐이다"라고 설명했다.
서진수 강남대학교 교수는 "지브리풍의 인기 현상은 IT와 AI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게으른 작가보다 AI가 더 빠르게 성공할 수 있다. 작가들도 AI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 교수는 이런 AI의 발전에도 "기계는 사람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이지 대체할 수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모든 세상의 기계, 기술 변화를 긍정적으로 바라본다"고 답했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