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일대 개발 관련 주택공급 계획에 우려감
"고양시 자족도시 발전 기회 놓칠 수도" 경고
[고양=뉴스핌] 최환금 기자 = 김운남 고양특례시의회 의장이 현재 추진 중인 고양시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안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내놨다. 김 의장은 이로 인해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발전할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5일 고양특례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는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안 관련 회의를 통해 김운남 의장이 밝힌 입장을 공개했다. 김운남 의장은 "경제자유구역은 단순한 도시개발이 아닌 국가경쟁력 제고와 지역 균형발전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택공급 확대는 이와 맞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 |
고양특례시의회 전경. [사진=고양시의회] 2025.04.15 atbodo@newspim.com |
고양시가 최근 발표한 개발계획 변경안은 JDS지구를 분리해 송포·가좌지구와 장항·대화지구로 나누고 총 5만 호 규모의 주택을 공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3기 신도시인 창릉지구를 넘는 규모로, 김 의장은 이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구역이 아닌 주택공급구역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주거 중심의 성장이 도시의 자족성을 저해했다는 점을 인정했으며 산업 중심의 자족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2040 도시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변경안이 그 계획과 배치된다는 지적을 받았다.
김운남 의장은 고양시가 현재 두 가지 길 앞에 서 있으며.경제자유구역 성공적 지정 또는 대규모 주택공급 확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경제자유구역은 기업 유치, 산업 활성화,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주택은 산업 인프라를 보완하는 수준에 그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도시 공간 재편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자족도시 실현에 맞춰져야 하며 중대한 도시개발 계획에는 반드시 시민 의견 수렴과 시의회와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 의장은 마지막으로 "경제자유구역은 도시의 미래 산업구조를 디자인할 기회다. 개발의 본질에서 벗어난 추진이 이뤄지지 않도록 감시자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고양특례시의회는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대한 깊은 고민과 재검토를 촉구하며 시민과 협력해 자족도시로의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atbod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