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롯데케미칼 적자 지속...금호석유 홀로 '흑자 행진'
주력인 합성고무 사업 호조...NCC 없어 재무구조 탄탄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국내 석유화학업계 불황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석유화학업체 '빅4'중 하나로 꼽히는 금호석유화학의 흑자 비결에 관심이 모아진다. 현재 LG화학과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등 다른 '빅3' 석유화학업체들은 적자를 면치 못하는 가운데, 금호석유만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선 그 비결로 금호석유가 주력인 합성고무사업을 꼽고 있다. 다른 석유화학업체들이 생산하는 기초유분과 합성수지 같은 제품들은 2020년부터 대규모 증설 사이클이 이어지고 있어 공급과잉이 극심한 반면, 합성고무의 대규모 증설 사이클은 2010~2015년 이뤄졌다. 이에 합성고무 가격이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금호석화의 실적 개선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 LG화학·롯데케미칼 적자 지속...금호석유 홀로 '흑자 행진'
16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금호석유화학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 규모는 700억~800억원 내외로 추정된다. LG화학과 롯데케미칼 등 다른 석화업체들이 적자를 면치 못한 가운데, 금호석유의 흑자 유지 비결이 주목받고 있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금호석화의 1분기 영업이익은 863억원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이라며 "전분기 일회성 비용 소멸 및 주요 사업 수익성 반등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
금호석유화학 정기 주주총회 모습 [사진=뉴스핌 DB] |
금호석유화학은 1970년 삼양타이어(금호타이어)와 일본 미쓰이상사의 합작으로 설립된 한국합성고무공업이 모태다. 국내에서 최초로 합성고무 사업을 시작해 부침을 겪었으나 최근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가격 강세가 이어지며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른 화학기업에 비해 나프타분해설비(NCC)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납사가 아닌 기초유분이나 중간원료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등 다운스트림 영역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이에 영업적자와 순차입금 누적이 지속되는 NCC 중심 업체들과는 차별화된 현금흐름과 재무구조를 보유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매출액 중 사업부문별 비중은 합성고무 약 34%, 합성수지 약 20%, 페놀유도체 약 23% 등이다. 특히 합성고무 제품중 라텍스 장갑의 원료로 사용되는 NB라텍스 전 세계 시장 점유율 약 25%로 1위다.
◆ 주력인 합성고무 사업 호조...NCC 없어 재무구조 탄탄
금호석유화학이 전체적인 업황 불황속에서도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배경으로 연구개발(R&D) 강화 및 스페셜티(고부가) 제품 전환도 꼽힌다. 금호석유는 업황 부진 타개책으로 범용 제품에서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 늘리고 있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의 산업 전환에 맞춰 신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전기자동차 타이어를 제조할 때 필요한 고기능성 합성고무인 솔루션스티렌부타디엔고무(SSBR)다. 기존 고무보다 내마모성, 안전성, 연비를 높인다.
전유진 IM증권 연구원은 "업황과 실적, 재무구조, 주주정책 등 모든 측면에서 석유화학업종 내 가장 편안한 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업체"라고 밝혔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