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②글로벌 IB 긍정 평가, 국내외 기관 관심도 집중된 'A주 리스트'

기사입력 : 2025년04월22일 09:02

최종수정 : 2025년04월22일 09:02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IB, 중국자산 투자 긍정론
국내외 기관 관심 집중된 A주 최신 리스트 공개
'매수평가+우수실적+저평가 매력' 보유주 선별

이 기사는 4월 21일 오후 2시5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글로벌 IB 긍정 평가① 국내외 기관 관심도 집중된 'A주 리스트'>에서 이어짐.

◆ 최초 매수 또는 상향조정 평가 '91개 실적주'

지난 한 주간 '매수' 등급을 부여 받은 A주 종목 중 91개주는 기관으로부터 최초로 '매수형 등급' 또는 '상향 조정'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91개주는 공통적으로 지난해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표적으로 풍력발전 설비 제조업체 대금중공(大金重工∙Dajin Offshore Heavy Industry 002487.SZ)은 3개 기관이 등급을 상향조정하고, 3개 기관이 최초로 매수 등급을 부여했다.

2024년 대금중공의 영업수익(매출)은 전년 대비 12.61%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11.46% 증가했다. 대금중공은 향후 3~5년간 유럽 해상풍력 시장의 잠재력과 정책적 혜택이 확실하게 보장된 만큼, 글로벌 전략에 속도를 낼 중요한 시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글로벌 시장 점유율 상승 여력이 크며, 일본과 한국 등 신흥 시장에서도 새로운 성장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강소녕호고속도로(寧滬高速 600377.SH/0177.HK)는 처음으로 국태해통(國泰海通)과 화원증권(華源證券)으로부터 각각 '비중확대'와 '매수' 등급을 부여 받았다.

강소녕호고속도로는 장쑤(江蘇)성에 기반을 둔 국유기업(國企)으로 △유료 고속도로와 교량 운영·투자·건설을 주축으로 △부동산 판매 △전력판매 △광고 등의 서비스에 관여하고 있다.

2024년 영업수익이 처음으로 200억 위안을 돌파했고, 순이익은 50억 위안에 육박했다. 영업수익과 순이익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52.7%와 12.1%를 기록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4.21 pxx17@newspim.com

섹터별로는 전자 섹터의 6개 종목이 기관의 첫 매수형 등급을 받았는데, 그 중 4개 종목은 반도체 섹터 종목으로 반도체 자동화 테스트 시스템 연구개발 업체 베이징화펑시험관제기술(華峰測控 688200.SH), 초고순도 금속재료 및 초대형 집적회로 칩 제조사 강풍전자(江豐電子 300066.SH), 집적회로 설계업체 심붕미(芯朋微 688508.SH), CIS(CMOS 이미지 센서) 칩을 주로 생산하는 사특위(思特威∙SMARTSENSE 688213.SH)가 포함됐다.

그 중 사특위는 전면조명(FSI)-롤링셔터(RS) 시리즈, 후면조명(BSI)-RS 시리즈 및 글로벌 셔터(GS) 시리즈 제품라인을 앞세워 저조도 환경에서의 우수한 이미징 구현, 고온 작업 환경에서 칩의 고성능 유지, 명암 대비가 강한 환경에서 명암 세부 표현,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 촬영 시 왜곡과 끌림이 없음, 고프레임 비디오 촬영 등 시장이 요구하는 엄격한 기술적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 이들 91개 종목들은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91개 종목 중 15개 종목의 2024년 순이익 증가율은 50%를 넘어선 것(적자에서 흑자로의 전환 종목도 포함됨)으로 집계됐다. 사특위, 중국 최대 양돈업체 목원식품(牧原股份 002714.SZ), 중국 신흥 전기차 제조사 세레스(賽力斯∙SERES∙새력사집단 601127.SH) 등이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도 순이익 기준 최대 성장률을 기록한 종목은 사특위로 2024년 순이익은 26배 이상(2662.76%) 증가했으며, 목원식품과 세레스는 2024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목원식품은 지난해 출하량, 영업수익(매출), 순이익, 배당 등 여러 항목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영업수익은 1379억4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4.43% 늘었다.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178억81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19.42% 급증한 동시에 적자에서 흑자로의 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상장 이후 2020년에 이어 두 번째로 우수한 기록이다.

4월 9일 공개된 1분기 수익 전망치에 따르면 목원식품의 순이익은 45억~50억 위안 사이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3.02~303.35% 증가한 수준이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4.21 pxx17@newspim.com

◆ '매수평가+저평가+우수실적' 공통분모 '7개주'

지난주(4월 14일~18일) '매수형(매수, 비중 확대, 추천, 강력 추천, 강력 매수 포함) 등급'을 받은 총 396개 종목 중 2024년 연간 보고서 기준으로 지난 한 해 흑자를 달성하고 순이익 증가율이 30%를 넘어섰으며, 최근 1년래 최저가 대비 최신 종가의 프리미엄률이 5% 이내인 종목은 단 7개로 압축된다.

참고로 '최근 1년래 최저가 대비 최신 종가의 프리미엄률'은 최신 종가가 지난 1년간 기록한 최저 종가와 비교해 얼마나 할증이 돼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해당 프리미엄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주식에 대한 시장의 투자 수요가 높고, 투자자들이 해당 종목의 미래 성과에 대해 낙관적 기대를 갖고 있음을 말해준다. 반대로 프리미엄률이 낮다는 것은 시장의 신뢰가 높지 못하다는 것으로, 성장성과 실적 안정성이 높음에도 주가가 저평가 되고 있는 경우도 많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실적 측면에서 집적회로 칩 및 일반인쇄 소모품 제조업체 납사달(納思達∙NineStar 002180.SZ), 생물학적 재료 및 의료기기 연구개발 업체 건범바이오(健帆生物∙JAFRON 300529.SZ), 전 세계 두 번째 규모의 알루미늄 생산기업 중국알루미늄(中國鋁業 601600.SH), 태양광 브래킷 생산업체 중신박(中信博∙ARCTECH 688408.SH), 바이오 기능성 폴리우레탄 합성가죽과 폴리우레탄 복합재료 연구개발 업체 안리주식(安利股份∙ANLI 300218)의 2024년 순이익 증가율은 모두 80%를 넘어섰다.

건범바이오는 3개 기관으로부터 '매수' 등급을 받았다. 4월 18일 최신 종가는 22.4위안이며, 최근 5일간 기관이 제시한 목표가는 29.21위안이다. 최근 1년래 최저 종가는 21.86위안으로 최신 종가의 프리미엄률은 2.5% 정도다.

중국알루미늄은 화안증권(華安證券)으로부터, 중신박은 3개 기관으로부터 '매수' 등급을 받았다.

이들 7개 종목의 최신 주가는 1년 내 최저 종가에 근접한 상태로 납사달, 건범바이오, 보야바이오(300294.SZ) 등 3개주는 지난 한 주간 5% 이상 하락했다. 그 중 납사달은 기관이 제시한 목표가가 약 47위안으로 최신 종가(4월 18일 기준 22.27위안) 대비 100% 이상의 주가 상승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검장 정진우…동부 임은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서울중앙지검장에 정진우(52·사법연수원 29기) 서울북부지검장이 내정됐다. 검찰 2인자인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노만석(54·29기)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검사장)이 맡게 됐다. 법무부는 1일 대검검사급(고검장·검사장) 검사 3명에 대한 신규 보임 및 대검검사급 4명, 고검검사급(차·부장검사) 2명 등 6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부임 일자는 오는 4일이다. 서울중앙지검. [사진=뉴스핌 DB] 정 지검장은 국가정보원 파견 근무 이력이 있는 '공안통'으로 분류된다. 2003년 인천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그는 2011년 '저축은행비리합동수사단'이 만들어지자 대검 중앙수사부로 파견돼 일했고, 이후 법무부 국제형사과장·공안기획과장, 북부지검 형사4부장검사 등을 지냈다. 그는 금융정보분석원(FIU) 심사분석실장과 창원지검 진주지청장, 중앙지검 1차장검사 등을 거친 뒤 2022년 윤석열정부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해 대검 과학수사부장을 지냈고, 이후 춘천지검장을 거쳐 현재 북부지검장을 역임하고 있다. 2000년 대구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노 검사장은 광주지검·인천지검 특수부장검사, 중앙지검 조사2부장검사, 서울고검 차장검사, 제주지검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서울고검 차장검사 시절 서울고검장 직무대리를 했던 그는 심우정 검찰총장의 퇴임으로 한동안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게 됐다.  검찰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는 성상헌(52·30기) 대전지검장이 보임됐다. 성 지검장은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장검사,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 대검 수사정보2담당관, 중앙지검 형사1부장검사, 인천지검 형사1부장검사, 동부지검 차장검사 등을 지냈다. 그는 2022년 윤석열 정부 인사에서 검사장 승진 '1순위'인 중앙지검 1차장검사를 거친 뒤 다음 해인 2023년 인사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해 대검 기획조정부장으로 이원석 전 검찰총장을 보좌했다. 이후 지난해 인사에서 대전지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아울러 동부지검장에는 임은정(50·30기) 대전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남부지검장에는 김태훈(54·30기) 서울고검 검사가 각각 임명됐다. 임 부장검사는 검찰 내부고발자를 자처하며 검찰 개혁을 강하게 주장해 온 인물이다. 특히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그의 '저격수' 역할을 하며 강하게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김 검사는 윤석열정부 시절 법무부 검찰과장, 중앙지검 4차장검사 등 요직을 지냈다. 그는 과거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개입 사건'을 지휘한 인물로, 당시 수사팀의 무혐의 결론을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 장차관을 보좌해 정책을 총괄하는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최지석(50·31기) 서울고검 감찰부장이 맡게 됐으며, 현재 법무부 검찰국장을 맡고 있는 송강 국장은 광주고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한편 사의를 표명한 이진동 대검 차장검사, 신응석 남부지검장, 양석조 동부지검장,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등은 의원면직됐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7:47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