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1Q역대 최대 매출
B2B·신사업 성장 본격화
전장·HVAC 영업이익 37%↑
HS·MS도 구조 전환 성공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G전자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질적 성장 기반의 구조 전환 성과를 확인했다. 전장과 냉난방공조 등 기업간거래(B2B) 사업의 본격 성장세와 함께, 구독형 서비스와 플랫폼 중심의 비(非)하드웨어 모델 확장이 실적을 뒷받침했다.
LG전자는 24일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2조7398억원, 영업이익 1조259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이자, 6년 연속 1조원을 넘는 영업이익이다. 특히 B2B·구독·웹OS(webOS)·소비자직접거래(D2C) 등 사업 모델 다각화가 실적 전반을 견인했다는 점이 주효했다.
가전·TV 등 기존 강세 분야뿐 아니라, 전장(VS)·냉난방공조(ES) 양축이 동시에 분기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새로운 캐시카우로 부상했다. 두 본부의 영업이익 합산은 전년 동기 대비 37.2% 늘었고, 매출 증가율도 12.3%에 달했다.
![]() |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 [사진=LG전자] |
◆HS, 구독·D2C 모델로 사상 최대 실적
H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 6조6968억원, 영업이익 644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3%, 9.9% 성장했다. 기존 가전 중심 사업에 구독, 온라인 기반 D2C 모델을 강화하며 수익 구조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전자는 2분기에도 구독형 신제품 확대와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신모델 전략, 생산지 운영 최적화를 병행해 수익성을 지속 확보할 방침이다. 빌트인 가전과 핵심부품 외판 등 B2B 역량 강화도 병행한다.
M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 4조9503억원, 영업이익 49억원을 기록했다. TV 수요 정체에도 웹OS 기반 광고·콘텐츠 사업이 꾸준히 성장하며 실적 안정화에 기여했다. 본부 매출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며, 수익성은 LCD 패널 가격 상승과 마케팅비 확대 등의 영향을 받았다.
2분기에는 프리미엄 TV 중심의 수익 구조를 강화하고, 상업용 디스플레이·노트북 등과의 시너지 창출을 추진한다. 웹OS 플랫폼은 지역·사용자 기반 확대와 콘텐츠 사업자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VS·ES, 실적 고공행진
VS사업본부는 매출 2조8432억원, 영업이익 1251억원으로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수주잔고 100조원 규모를 기반으로 인포테인먼트(IVI) 중심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비중을 확대하며 수익성을 크게 높였다.
LG전자는 2분기에도 매출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고부가 제품 확대, 전기차 부품 사업 운영 효율화, 자원 운영 최적화를 통해 안정적 수익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E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 3조544억원, 영업이익 4067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8.0%, 21.2% 증가한 수치이며, 영업이익률은 13.3%에 달했다. 올해부터 독립 본부로 출범한 HVAC 사업이 수익 확대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2분기에도 가정용 신제품과 상업용 에어컨 수주 확대에 집중하고, 초대형 칠러 중심으로 산업·발전용 수요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등 신산업 영역 공략이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1분기 실적을 기점으로 B2B 중심의 사업 체질 전환과 비하드웨어 사업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사업 전반에서 질적 성장 기반을 확보한 만큼, 중장기적 수익성과 안정성 강화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