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플챗K', 공공기관 AI 상담 혁신 가속화
AI 채팅∙챗봇 솔루션으로 공공부문 영토 확장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핀테크 보안기업 아톤(대표 김종서, 우길수)은 공공기관 전용 AI챗봇·채팅상담 솔루션 '깃플챗K'를 조달청 나라장터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하고 공공 시장 확대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깃플챗K'는 아톤의 AI 챗봇·채팅 상담 서비스 '아톤 인텔리전스 커뮤니케이션센터(AICC)'의 공공 특화 솔루션이다. 이번 조달청 나라장터 디지털서비스몰에 정식 등록됨으로써 공공기관 및 지자체에서는 일반 경쟁 입찰과 같은 복잡한 행정 절차 없이 '깃플챗K'의 간편하고 신속한 도입이 가능하다.
SaaS 방식으로 공급하는 깃플챗K는 기존 온프레미스 방식에 비해 초기 구축 비용과 시스템 유지보수 인력 운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아톤은 정부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정책에 맞춰 공공기관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앞서 아톤 인텔리전스 커뮤니케이션센터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로부터 채팅 서비스로는 업계 최초로 CSAP(클라우드보안인증)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공공기관의 보안 요건을 충족했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공공기관 전용 인프라에 구성되어 365일 24시간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보장한다.
깃플챗K는 FAQ봇, 시나리오봇, 생성형 AI를 목적에 맞게 단독 또는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챗봇 서비스와 전문 채팅상담 시스템을 연계 제공한다. Advanced RAG 기술을 적용한 AI 추론 엔진으로 정확한 고객 응답이 가능하며, 백오피스 시스템을 통해 프롬프트와 지식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시나리오봇의 Gen AI 노드를 활용하면 생성형 AI를 쉽게 연동할 수 있어, 비개발자도 손쉽게 업무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담사 스킬 배정, 상담 전달, 귓속말 등 상담사 협업 기능과 함께 상담 번역, 저장된 답변 활용, 상담 노트 작성 등 다양한 채팅상담 기능으로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깃플챗K 시나리오봇 동작 프로세스 예시 [사진=아톤] 2025.04.24 y2kid@newspim.com |
이 외에도 깃플챗K는 '원솔루션-멀티채널' 통합 아키텍처를 통해 다양한 채널의 고객 상담을 단일 솔루션으로 일원화할 수 있다. 웹과 모바일앱, 카카오톡 등 주요 플랫폼과 완벽히 연동되며, 텍스트, 음성, 동영상, 라이브스트리밍까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지원한다. 클러스터 구조를 기반으로 동시 접속 6만명, 초당 최대 1800만건의 메시지 처리가 가능한 뛰어난 성능과 99.9%의 안정적인 서비스 가동률(SLA)을 자랑한다. 이용량 증가 시 쉽게 확장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상담량 폭주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톤 관계자는 "깃플챗K를 도입하는 기관에서는 맞춤형 챗봇을 통해 재난 안전, 교통, 지역 행사 및 관광 정보 등 대국민 정보 제공을 자동화하고, 필요시 전문 상담사의 채팅 상담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해 민원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며 "신규 직원 온보딩과 내부규정 및 정책 문의 자동 응대 등 기관 내부 업무 효율화에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아톤은 이미 삼성생명, 한국투자증권, NH농협카드, 교보라이프플래닛 등 주요 금융기관과 케이카, 한국미스미 등 다양한 기업에 AI챗봇·채팅상담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공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공공영역에서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국민체육진흥공단, 신월여의지하도로 등에 각 기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 솔루션을 제공했으며, 고객 환경에 따라 온프레미스, 독립형 클라우드, SaaS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