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 지분 인수 위한 4,133억 원 실탄 확보
오는 6월 SK브로드밴드 완전 자회사 편입…통신 사업 재정비 본격화
AI 피라미드 전략 기반, 글로벌 AI 시장 적극 공략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카카오 지분 매각을 통해 통신과 인공지능(AI) 사업에 집중하는 구조 재편에 시동을 걸었다.
25일 SK텔레콤은 자사가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 지분 전량을 시간 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했다고 밝혔다. 매각 지분은 총 1081만8510주로, 매각 금액은 약 4133억 원이다.
SK텔레콤은 이번 거래를 통해 SK브로드밴드 지분 99.1%를 보유하게 되며, 오는 6월 중 SK브로드밴드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 |
SK텔레콤 을지로 사옥. [사진=SK텔레콤] |
SK텔레콤 관계자는 "SK브로드밴드 완전 자회사 편입과 AI 투자 재원 마련을 목적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 시점을 고려해 지분 매각을 결정했다"며 "매각 대금은 성장투자 재원으로 활용할 예정으로, 올해 5월 마무리를 목표로 SK브로드밴드 지분 인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 태광그룹과 미래에셋이 보유한 SK브로드밴드 지분 24.8%(태광 16.75%, 미래에셋 8.01%)를 올해 5월까지 1조 1500억 원에 인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카카오 지분 매각은 해당 인수 대금 중 일부를 충당하기 위한 재원 확보 차원으로 해석된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 이후, 유·무선 통신 통합 전략에 따른 시너지 극대화와 함께, 유료방송·초고속인터넷·데이터센터 등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글로벌 데이터센터 및 해저 케이블 사업 확장 등 해외 통신 인프라 진출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 AI 투자 본격화…글로벌 AI 기업 도약 가속
카카오 지분 정리는 SK텔레콤이 'AI 컴퍼니'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AI, 5G 응용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등 자본 집약적인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비핵심 자산인 카카오 지분을 현금화한 것은 자본 효율성과 전략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선택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SK텔레콤은 2024년 미국에 AI 인프라 특화 자회사 'Astra AI Infra'를 설립하고, 글로벌 데이터센터 및 GPU 기반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또 기존 AI 플랫폼 법인인 'Global AI Platform'을 중심으로 AI 모델 개발, 에이전트 서비스 상용화, 마이데이터 기반 개인화 추천 기능 고도화 등을 추진 중이다.
![]() |
사진은 지난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5' SK텔레콤 전시 부스 모습. [사진= SK텔레콤] |
SK텔레콤은 'AI 피라미드 전략'을 통해 AI 인프라, AI 전환(AIX), AI 서비스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글로벌 AI 기업으로의 도약도 추진하고 있다. 이 전략의 일환으로, SK텔레콤은 2023년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에 1억 달러를, 2024년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SGH)에 2억 달러를 투자하며 해외 AI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왔다.
또한,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 사업 확대를 위해 미국의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와 협력해 서울 가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개소했으며, 펭귄 솔루션즈(Penguin Solutions)와도 협력해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확장 및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2024년에 추진한 B2B AI 사업을 위한 SKT-SKB-SK C&C 시너지 체계 확립, 에이닷과 글로벌 AI 에이전트 Aster(에스터)를 통한 B2C AI 서비스 가능성 입증에서 더 나아가, 2025년에는 우리의 AI가 실질적인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며 "'AI Infra Super Highway' 구축을 위한 AI DC, GPUaaS, Edge AI 사업은 물론 AIX Solution과 PAA(Personal AI Agent)에 이르기까지 AI Value Chain 전 영역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한 바 있다.
◆ 투자자 신뢰 확보…재무 안정성과 성장 전략 강화
SK텔레콤의 이번 결정은 재무 건전성과 전략 집중도 제고 측면에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4000억 원이 넘는 현금을 확보하면서 추가 차입 없이 SK브로드밴드 인수가 가능해졌고, AI 중심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의 경우, SK텔레콤의 보유 지분이 약 2% 수준에 불과했던 만큼, 주가나 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SK텔레콤이라는 우호적 주주 이탈이라는 측면에서 상징적 의미는 적지 않다는 평가다.
![]() |
사진은 지난달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열린 제 41기 주주총회 현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AI 피라미드2.0'전략과 이를 뒷받침 하는 구체적인 사업 현황과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SK텔레콤 주가는 카카오 지분 매각 발표 이후 상승해 오후 2시 40분 기준 전일 대비 0.69% 오른 5만 8,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카카오 주가는 전일 대비 3.8% 하락한 3만 7,950원에 거래 중이다.
한편, SK텔레콤과 카카오는 2019년 플랫폼 및 인프라 시너지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3,000억 원 규모의 지분 맞교환(카카오 2.5%, SK텔레콤 1.6%)을 단행한 바 있다. 이후 커머스·콘텐츠·AI·IoT 등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해 왔으며, 현재도 ESG 공동펀드 조성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스타트업에 공동 투자하는 한편, 마케팅 및 클라우드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SK텔레콤 측은 "향후에도 카카오와 지속적인 사업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