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문제연구소 '한미일 국방대 안보정책 포럼' 주최
"미국 국방대(NDU)·일본 방위연구소(NIDS) 협력 강화
전략가 양성·전략적 안보 파트너십 제도화 핵심 기반"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임기훈(육군 중장) 국방대 총장은 30일 "한미일 고등군사교육기관 간 교류협력체계 구축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임 총장은 "한국 국방대는 미국 국방대(NDU), 일본 방위연구소(NIDS)와 협력 강화를 위해 실무자 교류 확대와 교수진 공동연구, 3국 공동 정책보고서 발간 등의 추진을 제안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임 총장은 이날 서울 용산 로카우스(ROKAUS)에서 국방대 국가안보문제연구소가 주최한 '국제 정세 변화와 한미일 안보협력' 주제로 열린 '2025 한미일 국방대 안보정책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 |
2025 한미일 국방대 공동 학술회의 주요 참석자들이 30일 서울 용산 로카우스에서 열린 포럼에서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임기훈(앞줄 왼쪽 여섯 번째) 한국 국방대 총장, 마나부 이마큐레이(다섯번째) 일본 방위연구소장, 프레데릭 크리스트(일곱번째) 한미연합군사령부 군참부장. [사진=국방대] |
임 총장은 "한미일 세 기관이 위협 평가와 전략 문서를 공동으로 검토하고 주요 전략 과제에 대해 공동 분석체계를 운영한다면 정책의 실효성과 학술의 전문성이 함께 제고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임 총장은 "정기적인 포럼과 세미나 제도화는 물론 차세대 전략가 양성을 위한 공동 교육 프로그램도 적극 추진해 볼 수 있다"면서 "이러한 학술 협력체계는 단지 정보와 지식의 교류를 넘어 전략적 안보 파트너십을 제도화하는 데 있어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임 총장은 "한국 국방대는 향후 미 국방대와 일 방위연구소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더욱 심화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학문이 정책을 뒷받침하고 전략이 미래를 설계하는 체계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설인효 국방대 교수는 "한미일 간 긴밀한 협력과 정책 조정으로 변화의 압력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스틴 앤더슨 미 국방대 박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정책 전망과 향후 국제 핵질서 방향, 한미 확장억제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타케시 와타나베 일 방위연구소 교수는 트럼프 2기 정부 아래 북중러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박영준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장은 "한미일 세 나라 학술회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와 사회에 대해 지속적인 한미일 안보협력 필요성과 구체적 정책 방향을 제안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마나부 이마큐레이 일 방위연구소장도 기조연설을 했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과 제이비어 브런슨(육군 대장)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 유엔군사령관이 축사를 했다.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의 축사는 한미일 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국방대는 설명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