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화기학회서 총 5건 임상 데이터 발표
약물 반응 예측 인자 첫 공개…조기 치료 전략 제시
의료진 대상 세미나 통해 제품 효능·경쟁력 홍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셀트리온이 미국 소화기학회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의 임상 3상 사후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시장 내 처방 확대 기대감을 높였다.
7일, 셀트리온은 지난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5 미국소화기학회(Digestive Disease Week, DDW)'에서 짐펜트라(성분명: 인플릭시맙)의 글로벌 임상 3상 장기 추적연구 사후분석 결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DDW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화기학 학술대회로, 매년 1만여 명의 의료 전문가가 참석해 4000건 이상의 초록과 포스터를 공유하며 최신 연구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 |
[사진=셀트리온] |
셀트리온은 이번 학회에서 크론병(CD) 및 궤양성 대장염(UC)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짐펜트라 글로벌 임상 3상의 1년(54주) 및 2년(102주) 추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5건의 포스터를 발표했다.
특히, 중등도 및 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지 치료 중 약물 반응 소실 예측 인자에 관한 연구 결과를 처음 공개했다. 이 연구에서는 치료 초기부터 반응 소실 환자와 반응 지속 환자 간의 기저 특성과 임상 반응 양상에서 차이가 확인됐으며, 이는 초기 증량 투여 전략의 효율성을 시사했다.
또한 ▲유지 치료 시 내시경 및 조직학적 관해율 ▲필요 환자 대상 증량 투여 효과 ▲크론병 질병 위치에 따른 효능 ▲면역원성의 장기 영향 등 앞서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 학회(ECCO)에서 공개했던 주제들을 포함한 4건의 포스터도 함께 발표됐다.
셀트리온은 학술대회 기간 동안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IBD 의료진 대상 세미나를 진행해 짐펜트라의 치료 효능과 경쟁력을 알렸다. 특히 4일 개최된 '염증성 장질환에서 TNF 억제제의 임상 및 환자 결과 최적화 방안'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에서는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으로서의 차별성을 부각시켰다.
셀트리온 측은 "글로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짐펜트라 연구 결과에 대해 의료 전문가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번 데이터 발표가 미국 시장 내 처방 확대와 점유율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