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게임사 1분기 성적, '신작·IP'에 따라 희비 갈렸다

기사입력 : 2025년05월15일 13:42

최종수정 : 2025년05월15일 13:42

크래프톤·넷마블, 신작 흥행·주력 IP 회복으로 실적 급증
카카오게임즈·위메이드·펄어비스, 신작 부재·개발비 부담에 수익성 악화
주요 게임사, 하반기 대형 신작 출격…글로벌 성과에 기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올해 1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크래프톤과 넷마블이 전망치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둔 반면, 카카오게임즈와 펄어비스, 위메이드 등은 흑자 전환에 실패하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15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게임 산업군 내 대표 10개 기업으로 구성된 'KRX 게임 TOP 10 지수'는 최근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3일 639.04였던 지수는 14일 644.45로 상승한 데 이어, 이날(오후 1시 기준)에는 645.09를 기록 중이다. 이러한 상승세는 주요 게임사들의 실적 발표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지수에 포함된 게임사 가운데 1분기 실적이 가장 돋보인 기업은 크래프톤과 넷마블이다. 크래프톤은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8,742억 원, 영업이익 4,573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이는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인 매출 7,937억 원, 영업이익 3,864억 원을 큰 폭으로 웃돈 수치다. 글로벌 흥행작 'PUBG: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신규 IP '인조이(inZOI)'가 출시 7일 만에 100만 장 판매를 돌파하는 등 성과를 견인했다. 크래프톤은 '딩컴 투게더', '서브노티카2', '프로젝트 AB' 등 신작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넷마블은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6,239억 원, 영업이익 497억 원, 당기순이익 802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43% 증가했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실적 컨센서스인 매출 6,071억 원, 영업이익 304억 원, 당기순이익 269억 원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1분기 실적은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의 초기 흥행과 함께, 기존 게임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의 콘텐츠 업데이트에 따른 매출 반등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넷마블은 2분기에 '세븐나이츠 리버스',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AFK' 등 신작을 출시할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일곱 개의 대죄: Origin', '몬스터 길들이기: STAR DIVE', '프로젝트 SOL' 등 총 5종의 신작도 선보일 계획이다.

컴투스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1,680억 원, 영업이익 1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5%, 44.3% 증가한 수치로,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실적 컨센서스(매출 1,754억 원, 영업손실 6억 원)와 비교하면 매출은 전망치를 다소 밑돌았지만, 영업이익은 예상치를 웃돌았다. 1분기 실적은 간판 게임 '서머너즈 워' 시리즈의 안정적인 성과와 스포츠 게임 매출 증가가 실적을 이끌었다. 컴투스는 올해 '더 스타라이트', '프로젝트 M' 등 신작 출시를 통해 수익성을 더욱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카카오게임즈·펄어비스·위메이드는 1분기에도 흑자 전환에 실패하는 부진을 기록했다. 카카오게임즈는 신작 공백과 조직 구조조정 여파로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1,229억 원, 영업손실 12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모바일 게임 부문 매출이 41% 감소하며 부진했으며, PC 부문은 '패스 오브 엑자일' 신규 리그 효과로 선방했지만 전체 실적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카카오게임즈는 하반기 '가디스오더', '크로노 오디세이', '갓 세이브 버밍엄'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을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수익성 회복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위메이드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1,418억 원, 영업손실 113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적자 폭을 축소했다.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의 초기 흥행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으며, 하반기에는 중국 '미르M', '미드나잇 워커스',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등 다양한 신작을 순차적으로 출시해 실적 회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펄어비스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842억 원, 영업손실 38억 원을 기록했다. 자회사 CCP게임즈의 개발비 증가와 주력 게임 '검은사막'의 성장 둔화가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펄어비스는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는 기대작 '붉은사막'의 콘솔 인증과 품질 검증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2분기부터는 유저와의 접점을 확대해 흥행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편, 엔씨소프트는 1분기 흑자를 이어갔지만, 전반적인 실적 회복세는 미미한 수준이다. 엔씨소프트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3,603억 원, 영업이익 52억 원, 당기순이익 375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0% 급감했고, 당기순이익도 34% 감소했다. 구조조정 효과로 흑자 전환에는 성공했지만, 모바일 게임 매출 감소와 글로벌 타이틀 'THRONE AND LIBERTY(TL)'의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엔씨소프트는 하반기 '아이온2' 출시를 통해 실적 반등을 꾀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최대 2조 5,000억 원의 매출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엔씨소프트 '아이온2' 로고. [사진=엔씨소프트]

dconnect@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검장 정진우…동부 임은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서울중앙지검장에 정진우(52·사법연수원 29기) 서울북부지검장이 내정됐다. 검찰 2인자인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노만석(54·29기)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검사장)이 맡게 됐다. 법무부는 1일 대검검사급(고검장·검사장) 검사 3명에 대한 신규 보임 및 대검검사급 4명, 고검검사급(차·부장검사) 2명 등 6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부임 일자는 오는 4일이다. 서울중앙지검. [사진=뉴스핌 DB] 정 지검장은 국가정보원 파견 근무 이력이 있는 '공안통'으로 분류된다. 2003년 인천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그는 2011년 '저축은행비리합동수사단'이 만들어지자 대검 중앙수사부로 파견돼 일했고, 이후 법무부 국제형사과장·공안기획과장, 북부지검 형사4부장검사 등을 지냈다. 그는 금융정보분석원(FIU) 심사분석실장과 창원지검 진주지청장, 중앙지검 1차장검사 등을 거친 뒤 2022년 윤석열정부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해 대검 과학수사부장을 지냈고, 이후 춘천지검장을 거쳐 현재 북부지검장을 역임하고 있다. 2000년 대구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노 검사장은 광주지검·인천지검 특수부장검사, 중앙지검 조사2부장검사, 서울고검 차장검사, 제주지검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서울고검 차장검사 시절 서울고검장 직무대리를 했던 그는 심우정 검찰총장의 퇴임으로 한동안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게 됐다.  검찰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는 성상헌(52·30기) 대전지검장이 보임됐다. 성 지검장은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장검사,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 대검 수사정보2담당관, 중앙지검 형사1부장검사, 인천지검 형사1부장검사, 동부지검 차장검사 등을 지냈다. 그는 2022년 윤석열 정부 인사에서 검사장 승진 '1순위'인 중앙지검 1차장검사를 거친 뒤 다음 해인 2023년 인사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해 대검 기획조정부장으로 이원석 전 검찰총장을 보좌했다. 이후 지난해 인사에서 대전지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아울러 동부지검장에는 임은정(50·30기) 대전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남부지검장에는 김태훈(54·30기) 서울고검 검사가 각각 임명됐다. 임 부장검사는 검찰 내부고발자를 자처하며 검찰 개혁을 강하게 주장해 온 인물이다. 특히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그의 '저격수' 역할을 하며 강하게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김 검사는 윤석열정부 시절 법무부 검찰과장, 중앙지검 4차장검사 등 요직을 지냈다. 그는 과거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개입 사건'을 지휘한 인물로, 당시 수사팀의 무혐의 결론을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 장차관을 보좌해 정책을 총괄하는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최지석(50·31기) 서울고검 감찰부장이 맡게 됐으며, 현재 법무부 검찰국장을 맡고 있는 송강 국장은 광주고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한편 사의를 표명한 이진동 대검 차장검사, 신응석 남부지검장, 양석조 동부지검장,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등은 의원면직됐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7:47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