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등 특별재난지역 지정 못 받으면 도비로라도 복구...가축·농작물 보상도 세심하게 챙길 것"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집중호우 피해 수습과 복구를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피해예측 기반 선제지원 ▲농축산 피해보상 강화 ▲소하천 즉시 정비 ▲현장 안전관리 강화 등 4가지 주요 당부사항을 긴급 지시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집중호우 피해 수습과 복구를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피해예측 기반 선제지원 ▲농축산 피해보상 강화 ▲소하천 즉시 정비 ▲현장 안전관리 강화 등 4가지 주요 당부사항을 긴급 지시했다. [사진=경기도] |
이날 오전 도청에서 열린 회의에서 김 지사는 "행정경계에 얽매이지 말고 포천 등 피해가 큰 지역은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이뤄지도록 노력하라"며 "만약 지정이 안 될 경우 도 차원에서 '특별지원구역'으로 지정해 도비로 복구비 50%를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특별지원구역은 올해 경기도가 자체 도입한 신규 제도로, 피해지역에 대한 신속한 회복을 목적으로 한다.
김 지사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도 피해조사를 결과 기준이 아닌 '예측치'로 진행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이재민들이 폭염 속에 더 큰 피해를 입기 전 빠르게 예측 피해를 파악하고 지원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집중호우 피해 수습과 복구를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피해예측 기반 선제지원 ▲농축산 피해보상 강화 ▲소하천 즉시 정비 ▲현장 안전관리 강화 등 4가지 주요 당부사항을 긴급 지시했다. [사진=경기도] |
이어 농축산업 분야의 상실감과 피해에 대해서도 각별한 대응을 당부했다. 김 지사는 "비닐하우스가 날아가고 임신한 젖소가 유산 위기에 놓였다는 보고가 있다"며 "가축재해보험 등 보상 가능성을 꼼꼼히 검토하고, 양식업과 축산농가에 대한 피해 지원도 빠짐없이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소하천 관리 미비로 인한 2차 피해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김 지사는 "어제 가평 대보교를 보니 버드나무 제거와 하천 준설이 부족해 피해가 커졌다는 주민들의 말이 있었다"며 "사후라도 신속히 정비해 주민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피해지역 소하천을 정비 우선순위로 반영하라"며 후속조치 계획도 주문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집중호우 피해 수습과 복구를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피해예측 기반 선제지원 ▲농축산 피해보상 강화 ▲소하천 즉시 정비 ▲현장 안전관리 강화 등 4가지 주요 당부사항을 긴급 지시했다. [사진=경기도] |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지원도 지시했다. 김 지사는 "가평·청평 등에는 인근 시군 보건소뿐 아니라 필요시 경기남부까지도 총동원해 방역을 강화하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구조활동에 나선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챙길 것을 주문했다. 김 지사는 "육안상 멀쩡해 보여도 '돌다리도 두드려보는' 자세로 다리, 도로, 구조현장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며 "헬기 추락이나 인명사고가 발생한다면 그것은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재"라고 경고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