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와 협력, 취약계층 보호·피해 최소화
야외 건설노동자 오후 2~5시 실외 작업 중지
이동노동자 쉼터 운영, 생수 10만 병 지원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24일 오전 10시 기준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발령됐다. 이에 서울시는 폭염 종합지원상황실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본격적인 비상근무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폭염경보는 지난 21일 오후 4시 20분 기준 서울 전역에 발효된 폭염주의보가 3일 만에 폭염경보로 격상된 것이다.
폭염경보는 하루 최고 체감온도 35도를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되거나 더위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이날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어제보다 체감온도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폭염주의보에서 폭염경보로 단계가 상향됐다.
![]() |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폭염경보가 계속되고 있는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 쿨링포그가 가동되고 있다. 2025.07.11 ryuchan0925@newspim.com |
시는 폭염경보 발효에 따라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하고 폭염 종합지원상황실의 대응단계를 1단계(5개반 7명)에서 2단계(8개반 10명)로 강화했다. 상황 총괄반, 생활 지원반, 에너지 복구반, 의료 방역반, 구조구급반, 교통 대책반, 시설 복구반, 재난 홍보반 등이 포함된다.
종합지원상황실은 기상 현황과 피해 발생 상황, 취약계층 보호를 포함한 여러 사항을 관리하며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다. 25개 자치구에서도 상황실 운영과 냉방·응급구호물품을 비축하는 등 폭염 피해 발생에 철저히 대비하며 서울시와 협업 체계를 유지한다.
시는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건강관리에 유의하도록 시민들에게 시민행동요령을 강조했다. 서울시 재난안전정보 포털인 '서울안전누리'에서도 시민행동요령과 실시간 재난속보, 무더위쉼터, 그늘막 등 폭염저감시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취약 계층에 대한 돌봄 활동이 강화되며 물청소차 운행과 폭염 저감시설 점검도 동시에 진행된다.
서울시 발주 공사장에 대해서는 긴급 안전과 관련된 작업 등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후 2~5시 사이 야외 작업 중단 원칙을 적용한다. 아울러 민간 건설현장에 대해서도 폭염 관련 보호대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이동노동자에 대해서도 이동노동자 쉼터 21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생수나눔 캠페인을 통해 등 생수 10만 병을 지원하는 등 이동노동자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성은 재난안전기획관은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내려진 만큼, 시에서는 취약계층 보호와 온열질환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폭염 대응체계를 한층 강화해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면서 "시민 여러분들도 한낮의 무리한 야외활동은 자제하고, 가까운 무더위쉼터를 적극 이용해 건강을 지켜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