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악화 우려 감소"
"고용시장 추가 악화 선제적 대응해야"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미셸 보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은 최근 고용 지표 악화가 올해 3차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자신의 믿음을 더 강화시켰다고 밝혔다.
보먼 부의장은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 거론되는 크리스토퍼 윌러 이사와 함께 지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주장하며 금리동결(4.25~4.50%) 결정에 반대표를 던졌다.
현지시간 9일 로이터에 따르면 보먼 부의장은 캔자스 은행연합회 연설문에서 "지난번 FOMC에서 조치를 취했다면 고용시장 여건의 추가 악화와 경제활동의 약화를 미리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신은 6월 FOMC 때부터 7월 금리 인하를 주장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 수요가 올 초 완만한 상승세에서 크게 꺾였다. 나의 경제전망에는 지난해 12월부터 주장한 올해 3번의 금리인하가 포함돼 있다. 최근 고용시장 데이터는 나의 견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올 연말까지 3차례 FOMC(9월과 10월, 12월)를 남겨두고 있다.
보먼 부의장은 "최근의 경제성장,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통계는 연준의 두 가지 목표 중 고용 부문의 위험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최근의 물가 지표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강화시켰다"고 말했다.
특히 관세와 연관된 상품 가격 상승을 제외한 기저 인플레이션의 경우 연준의 2% 목표에 다가서고 있다며 트럼프 정부의 감세와 규제 완화 정책이 수입 관세로 인한 경제 침체나 물가 영향을 상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금융 위기 후 최저 수준인 주택 수요와 고용시장 상황이 더 이상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지 않고 있어 물가 위험은 줄어들었다고 판단했다.
보먼 부의장은 현재의 다소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완화하는 것은 노동 시장이 추가 악화할 경우 연준이 더 큰 폭의 금리조정을 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보먼 부의장의 발언은 7월 FOMC 때보다 노동시장 침체 우려가 커졌음을 의미한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대부분 연준 이사들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 2%로 둔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금리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노동부가 지난 1일 공개한 7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실업율은 전월 4.1%에서 4.2%로 상승했고, 최근 석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월 평균 3만5000건에 그쳤다.
보통 이코노미스트들은 고용시장이 견실하려면 월간 10만명의 신규 고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트럼프 집권 2기 들어 이민 노동자가 큰 폭으로 감소함에 따라 이보다는 낮은 수준에서 균형점이 형성됐을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예상을 밑돈 7월 고용지표와 함께 5~6월치 신규 고용이 큰 폭으로 햐항조정된 것으로 발표된 직후 "고용통계가 조작됐다"며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해임하기도 했다.
![]() |
미 보먼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8.11 kongsikpark@newspim.com |
kongsik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