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관세 부과되는 27일 전까지 협상 타결 난망"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이달 말로 예정됐던 미국 무역 협상단의 인도 방문이 취소됐다. 양측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희박해졌으며, 그에 따라 이달 말부터 인도에 대한 50%의 관세 부과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7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 오는 25~29일로 예정됐던 미국 무역 협상단의 인도 뉴델리 방문이 취소됐다고 보도했다. 양국 협상이 연기될 것으로 보이지만 구체적인 협상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인도 매체 NDTV 역시 인도 상공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 미국 협상단이 인도를 방문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해 왔으며 이에 따라 제6차 협상 일정을 조정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양국 간 협상이 연기됨에 따라 인도가 27일 이전에 협상을 타결해 25%의 추가 관세 부과를 피할 가능성은 더욱 줄어들었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대한 상호 관세율로 26%를 책정했고, 이후 양국은 5차례에 걸쳐 협상을 벌였다. 그러나 인도의 유제품 및 농산물 수입 관세 인하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미국은 인도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25%로 조정하면서 이달 초부터 부과하고 있다. 이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자금을 대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상호 관세 외의 별도 제재를 예고했고, 결국 25%의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다.
협상 연기로 추가 관세까지 정식 부과될 경우 인도에 대한 관세율은 50%로 치솟게 된다. 미국의 교역 상대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NDTV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현재 미국 관세 관련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상공부가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며 산업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할 것임을 시사했다.
모디 총리는 이달 7일 뉴델리에서 열린 행사에서 "우리는 농민의 복지가 최우선"이라며 "인도는 농민과 유제품 산업, 어민 복지를 두고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 강조했다.
모디 총리가 미국이나 무역 협상과 관련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아니지만, 양국 협상의 주요 쟁점인 농산물과 유제품 분야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 바 있다.
모디 총리는 인도의 독립기념일이었던 15일 연설에서도 "인도의 농부, 낙농업자, 어민이 정부의 최우선 순위"라며 "나는 이들에게 불리한 정책에 대해 맞서는 벽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NDTV는 전했다.
![]() |
[사진=바이두(百度)]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