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복 군수, 긴급 대책 회의 주재...부서별 가뭄 대응 체계 점검
8월 말 현재 제한 급수 2곳...보배수 공급 등 가뭄 피해 최소화 총력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수개월째 폭염과 강수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경북 울진 지역의 저수율이 60%대로 크게 떨어지자 울진군이 가뭄 대응 체계를 점검하는 등 가뭄 대비 선제 대응에 들어갔다
손병복 군수는 1일 가뭄 대비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부서별 가뭄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 |
수개월째 폭염과 강수 부족현상이 이어지면서 경북 울진지역의 저수율이 60%대로 크게 떨어지자 손병복 울진군수가 1일 가뭄 대비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부서별 대응체계를 점검하는 등 가뭄 대비 선제 대응에 들어갔다.[사진=울진군]2025.09.02 nulcheon@newspim.com |
손 군수는 이날 회의를 통해 부서별 가뭄 대응 체계를 꼼꼼하게 점검하고 가뭄에 따른 생활·농업 피해 예방을 위한 추진 사항과 향후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안전재난과는 '2025년 가뭄 종합 대책'을 수립하고 가뭄대책 TF를 구성, 상시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향후 상황 악화 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등 단계별 조치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또 농정과는 가뭄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비 1억1000만 원을 들여 39곳에 물탱크를 설치, 농업용수 부족에 대비하는 한편 농작물 피해 최소화를 위해 2,330농가에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을 지원하는 등 가뭄 대비 기반을 마련했다.
농업기술센터는 재해대책상황실 운영과 함께 20명으로 구성된 기술 지도반을 편성, 가뭄 대비 예찰을 강화했다.
또 무인 항공기를 활용한 병해충 공동 방제를 확대해 농작물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맑은물사업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보배수와 급수차를 신속히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지역 내 취수 시설은 정상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맑은물사업소는 취수 시설 수위 저하 시 단계별 급수 대책 시행에 들어가는 한편, 현장 긴급 요청 시 즉시 지원할 수 있도록 대응 준비를 마친 상태다.
특히 지하수 고갈이나 수돗물 일시 중단 등 식수 부족이 예상되는 마을을 중심으로 읍·면 행정 기관과 연계한 신속 지원 체계 운영을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가뭄은 군민의 생업과 직결되는 사안으로, 무엇보다 현장 중심의 선제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울진군은 군민 불편 최소화와 만일의 사태에 대비키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진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지역의 누적 강우량은 553mm로 관측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누적 강우량 690mm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규모이다.
![]() |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수개월째 폭염과 강수 부족현상이 이어지면서 강바닥이 드러난 경북 울진군 울진읍 남대천.2025.09.02 nulcheon@newspim.com |
특히 8월 한 달간의 강우량은 26.6mm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진군 내 소규모 수도시설로 식수 등을 공급받는 곳은 12곳으로 이 중 8월 말 현재 제한 급수 지역은 근남면 구산3리 원심골과 온정면 외선미1리 안마 등 2곳이다.
울진군은 이들 2곳에 제한 급수와 함께 보배수 공급 등 운반 급수를 시행하고 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