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태 보전과 이용 균형 정책 등 논의
조사 결과 보호구역 확대·정책 자료 활용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지난 8일 시청 회의실에서 '해양생태종합조사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해양생태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사업 추진 방향을 점검하는 자리였다.
![]() |
8일 오후 3시 부산시청 18층 회의실에서 열린 '해양생태종합조사 연구 용역'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착수보고회 [사진=부산시] 2025.09.09 |
착수보고회에는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과 시의회 관계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해양환경공단·국립부경대학교 등 관련 기관 전문가 10여 명이 참석했다. 용역 수행 계획과 일정 보고 후 부산 연안 해양생태계 관리 방안에 관한 자문과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제정된 '부산광역시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근거한 첫 종합조사다. 부산 연안 전역을 대상으로 갯벌·연안·암반 생태계를 포함한 현장 조사와 문헌조사가 내년 9월까지 약 13개월간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해양물리 및 환경 조사▲해양생물 군집 구조 분석(플랑크톤, 어류, 해조류, 대형저서동물 등)▲개발 및 이용 계획 현황 조사▲평가와 정책 제안을 포함한다.
부산 연안은 국내 유일하게 남해도서생태보전축·동해안생태보전축·기후변화관찰축 등 세 개의 주요 해양생태 축이 교차하는 지역으로 높은 생물 다양성과 다수 보호종 서식지로 평가받는다. 오륙도 주변, 남형제섬 주변, 나무섬 주변 등 세 곳의 해양보호구역과 낙동강하구 습지보호지역도 위치한다.
박근록 시 해양농수산국장은 "이번 종합조사는 과학적 진단을 통해 보전과 이용 균형 정책 마련의 출발점"이라며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 속 지속 가능한 해양생태 도시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뿐 아니라 향후 보호구역 확대와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 지원 등의 정책 기반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