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규제 합리화 계속 추진, 추가 과제 구체화해 나갈 것"
"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은행권 주도적 역할 해달라"
은행장, 생산적 금융 위해 자본규제 추가 개선 건의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개 은행 은행장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 강조하고 있는 생산적 금융·소비자 중심 금융·신뢰 금융에 대해 은행권이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이 위원장은 2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중회의실에서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및 20개 시중은행장과 취임 후 첫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위원장은 먼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와관련해 예상되는 금융서비스 장애로 국민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상황 변화에 맞게 신속히 금융서비스 장애 내용과 대체 거래수단을 상세히 알려줄 것을 당부했다.
![]() |
이억원 금융위원장 [사진=뉴스핌DB] |
이 위원장은 이와 함께 취임사를 통해 제시했던 생산적 금융·소비자 중심 금융·신뢰 금융으로의 '금융 대전환'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당부를 전했다.
먼저 생산적 금융에 대해 이 위원장은 "정부가 은행권의 투자 여력을 확대하고 자본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은행권 자본규제를 개선한 만큼, 은행들도 규제개선 취지에 걸맞게 생산적 금융을 적극 공급하는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아울러 "자본규제 합리화를 계속 추진할 것"이라면서 "신용리스크뿐만 아니라 운영리스크·시장리스크 등의 추가 과제를 계속 구체화해 나갈 것이므로 은행권도 현장의 애로사항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기탄없이 의견을 제시해달라"고 말했다.
소비자 중심 금융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차주의 여건을 가장 잘 아는 은행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체자들이 신속하게 경제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역할해주기를 기대한다"며 "곧 출범할 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과 관련해 은행권이 연체채권 매입 대금 민간 기여분의 대부분을 분담하는 등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신뢰 금융에 대해서는 가계부채의 철저한 관리와 주력산업의 사업 재편 등 당면한 리스크 요인에 대한 점검을 당부했다.
특히 "최근 금융권 해킹사고와 관련해, 철저한 원인 규명에 따른 엄정한 조치와 더불어 징벌적 과징금 도입 등 제도 개선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라며 은행장들에게 "자기 책임하에 보안체계를 재점검하고 내부 관리체계를 강화해달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이와 함께 은행권에 중대 재해 예방, 지역 금융 공급, 청년 채용 확대 등 다양한 사회적 어젠다에 대해 보다 관심을 기울여줄 것도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은행연합회장과 은행장들은 은행 자금이 부동산쏠림에서 벗어나 서민·실수요자 및 기업 등에 대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는 방향에 공감하며, "앞으로 우리 경제를 이끌어나갈 AI·반도체 등 미래 전략 산업 및 신성장, 혁신 벤처기업 등을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등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은행장들은 이 과정에서 은행이 충분한 자금 공급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본규제 등의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고도 건의했으며, 관련 생태계 지원을 위한 국민성장펀드에의 적극적인 참여의사도 밝혔다.
은행장들은 이와 함께 "서민·소상공인 등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지속 추진하고, 금융상품과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며 "연체자의 재기를 돕는 사회통합 차원의 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 취지에 깊이 공감하며, 은행권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적극 참여하겠다"고 했다.
신뢰 금융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관리, 내부통제와 소비자보호 강화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며 "보안 사고와 관련하여 사고 취약 부문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그룹 전체의 안전망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고 소개했다.
은행의 사회적 어젠다 참여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은행들은 "발표된 대로 중대재해 발생 이력을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등 사회적 책임 경영의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며 지역 내 자금 공급의 취지에 공감하면서, 지역 내 자금 공급 확대에 따른 인센티브 필요성 등도 건의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