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김해시의회에서 고령화 심화에 따른 치매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해 인력 확충과 서비스 혁신, 인식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해시의회 이미애 의원은 15일 열린 제274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령화 시대에 걸맞은 실질적 치매관리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경남 김해시의회 이미애 의원 [사진=김해시의회] 2025.10.15 |
이 의원은 "김해시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특히 대동면과 생림면, 한림면 등 9개 면·동이 초고령사회로 분류됐다"며 "그러나 농촌·원도심 지역은 여전히 치매 인식과 검진 접근성이 낮아 복지 사각지대가 고착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김해시 치매안심센터의 인력 부족 문제를 첫 과제로 꼽았다.
그는 "2020년 개소한 김해시 치매안심센터는 정원 35명 중 29명이 근무 중으로 83% 충원율에 그치고 있다"며 "예산 감소로 인력 충원이 지연되고, 치매환자 증가에 따른 업무 과중과 서비스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조호물품을 직접 수령해야 하는 현행 방식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며, 김해 스마트의약품 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한 '앳홈 서비스(AT HOME SERVICE)' 도입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앱을 통한 조호물품 입고·보관·배송이 가능해질 경우, 치매환자와 가족의 실질적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의원은 "AI 기반 디지털 프로그램을 활용해 치매 예방과 두뇌훈련 시스템을 경로당 프로그램과 연계하면, 효과와 접근성을 모두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했다.
그러면서 "치매환자 가족 지원 정책과 공공후견제 활성화, 생활 속 인식 개선 캠페인을 통해 치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해야 한다"며 "김해시가 진정한 치매안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제도 개선과 예산 투자, 전달체계 정비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news2349@newspim.com